義天과 宋 僧侶의 교류에 대한 연구와 대조적으로, 義天과 宋 居士의 교류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 본 연구는 義天과 宋 居士 楊傑의 교류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구체적으로 다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義天과 楊傑의 교류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하였다. 여기서 義天과 楊傑이 적어도 1085년 8월부터 10월(혹은 11월)까지 東京으로부터 杭州까지 동행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에 蘇軾의 詩 「送楊傑」을 통하여 義天과 楊傑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특히 "两勍敌" 개념에 대한 잘못된 해석을 수정하고 義天과 楊傑은 모두 아주 깊은 불교에 대한 조예에 이르렀고 서로에 대하여 높이 평가하였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뿐만 아니라 서로에게 깊은 교류와 정확한 이해가 있었다는 것도 강조하였다. 그리고 蘇轍의 詩 「次韻」을 통하여 義天과 楊傑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여기서 주로 "屬國"과 "戴角魚"가 누구를 가리키는지에 대하여 정확히 밝힘으로써 義天과 楊傑의 관계를 다시 확인하였다. 蘇轍은 여기서 義天과 楊傑을 같이 높이 평가하였고, 이 두 사람은 초월적인 佛敎의 높은 지경에 이르렀고 더 이상 세상의 명예욕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고 극찬하였다.
In contrast to studies about the exchanges between Goryeo Uicheon and Song Buddhist monk, there are hardly any studies about Uicheon and Song Jushi(confucian buddhist lay). This study focuses extensively about Goryeo Uicheon and Song Jushi Yangjie in three ways. The initial discussion confirms the encounter between Uicheon and Yangjie and the fact that they accompanied each other from Dongjing to Hangzhou during August to October (perhaps November), 1085. The following part furthermore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Uicheon and Yangjie, while exploring the conventional concept of "Liangjingdi" more clearly, through the poem "Songyangjie" by SuShi. It is noted here that not only did both Uicheon and Yangjie had profound knowledge in Buddhism and held each other in high regard, but they also had clear understanding of each other in their deep intellectual exchange.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Uicheon and Yangjie is explored through the poem "Rhyming" by SuZhe. Here the relationship is reassessed based on the distinction of who "Shuguo" and "Daijiaoyu" are. In this poem, SuZhe evaluates Uicheon and Yangjie highly and praised that both attained higher plane of transcendence in Buddhism and no longer bound by worldly fame.
Ⅰ. 머리말
Ⅱ. 義天과 楊傑의 불교 교류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
Ⅲ. 義天과 楊傑의 불교 교류에 대한 재검토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