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3768.jpg
KCI등재 학술저널

위만조선의 영역과 인구

The territory and the population of Wiman Joseon

  • 1,405

위만 집권 이전의 고조선은 진의 공격 이후에는 압록강을, 다시 한초에는 요동지역을 회복하여 패수=혼하를 서계로 삼았다. 위만조선의 영역으로 직접지배대상이었던 낙랑은 평안도 일대이고, 지배ㆍ복속 관계에 있었던 진번은 황해도와 경기북부 일대, 임둔은 單單大嶺을 중심으로 함경남도와 강원도 북부일대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위만조선과 연맹관계에 있었던 예맥지역은 옥저성이 있는 함흥방면에서 환인지역에 이르는 현도군의 범위이라고 할 수 있다. 진고공지인 패수(=혼하)~압록강지역은 위만조선 멸망 이후 요동군으로 편제되었다. 위만조선의 인구는 <낙랑군 호구부>의 호구증가율을 역으로 계산해 본 결과, 멸망 직전(기원전 108년)에 왕검성[조선현]은 5,978호, 35,360구 정도이었으며, 낙랑ㆍ진번ㆍ임둔 지역은 전체적으로는 27,082호, 177,923구로 파악된다. 여기에 혼하~압록강 지역의 호구를 더한다면 위만조선 전체의 인구는 훨씬 컸을 것으로 추정된다.

The western boundary of Wiman Joseon taken from King Joon was Hunhe river. The territory of Wiman Joseon can be understood in the relation with that of Han commanderies. Naklang which was directly ruled by Wiman Joseon was over Pyeung-an Province; subjugated Jinbun(眞番) was over Whanghae Province and the northern part of Kyeunggi Province; and Imdoon(臨屯) was over Hangeung Province and the northern part of Gangwon Province around Dandandaereung(單單大嶺). Yemek(濊貊) in alliance with Wiman Joseon covered the vast area of Hyundo county[玄&#33759;郡] from Hamheung where Castle of Okje(沃沮城) was located to Whanin(桓仁). In addition, the area called the old territory of Qin[秦故空地] from Beishui or Hunhe river to Yalu river was reorganized into Liaodong county of Han after the collapse of Wiman Joseon. The polulation of Wiman Joseon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inverse calculation of the rate of population growth was as follows. Just before the collapse (BC 108), the population of Castle of Wanggum(王儉城) was about 5,978 households or 35,360 persons; and that of Naklang, Jinbun and Imdoon was 27,082 households or 177,923 persons. Add to that, Wiman Joseon included the population of Hunhe-Yalu area, hence more households and persons.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위만 집권 이전 고조선의 西界

Ⅲ. 위만조선의 영역과 그 이해

Ⅳ. <낙랑군 호구부>를 통해 본 위만조선의 인구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