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실신환자의 임상적 접근

Clinical Approach to the Patient in Syncope

  • 265
113830.jpg

임상적으로 일시적 의식소실은 흔한 증상이다. 특히 실신과 경련이 가장 흔한 원인이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병을 감별해야 한다. 노인에서 흔히 생기는 일시적인 의식소실은 진단하기가 힘든 경우가 자주 있다. 왜냐하면 노인은 노화에 의해 동반된 질환이 많고 또한 다양한 약물을 복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종설에서는 일시적 의식소실의 흔한 원인, 실신의 정의, 빈도, 원인, 분류, 기전, 증상, 진단검사, 감별진단, 치료, 및 예후에 대하여 간단히 정리했다. 일단 일시적 의식소실이 있으면 약복용과 과거력을 포함한 상세한 병력청취 후 적절한 검사를 통한 임상적 분석이 진단에 가장 중요하다. 그러나 의식소실이 산발적으로 생긴 경우에는 진단이 어려울 때도 있다. 특히 치료에 반응이 없다면 그 원인을 알기는 더욱 힘들다. 그러나 최근에는 뇌와 심장병에 대한 다양한 진단기술이 발달하여 일시적 의식소실의 많은 경우에 그 원인을 알 수 있게 되었다.

Transient loss of consciousness in the elderly often presents one of the most difficult diagnostic challenges, particularly because of the high incidence of chronic medical conditions and associated medication usage. The major differential diagnoses include neurologic and cardiovascular causes, with seizures and syncope leading the list. Syncope, a transient loss of consciousness and postural tone due to reduced cerebral blood flow, is associated with spontaneous recovery. Syncope may result from cardiac, multiple noncardiac, or undetermined causes. It may occur suddenly, without warning, or may be preceded by symptoms of faintness. The differentiation of syncope from seizure is an important, sometimes difficult, diagnostic problem. Because most spells of episodic loss of consciousness occur outside medical observation, the history is the most critical part of evaluation.

Abstract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국문요약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