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어사용에 나타난 탄식의 양상과 의미

Aspect and its Significance in Sighing Alone for Eosayong

  • 88
113412.jpg

어사용은 하층남성들이 나무를 하러 가는 노동의 현장에서 부른 노래이다. 어사용에는 남성들이 부르던 집단적 노동요가 보여주는 긍정적이고 낙천적인 자기 인식 대신 고단한 삶을 살아야만 하는 하층 남성의 탄식이 담겨 있다. 홀로 탄식하며 부르는 노래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어사용에는 자신이 원하는 삶을 살 수 없었던 하층 남성들의 상처 난 욕망이 담겨 있다. 어사용의 사설은 민요 일반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공식구를 중심으로 조합된다. 이들 공식구간의 결합은 창자의 정서적 향방에 따라 유동적으로 결합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탄식의 목소리는 오히려 단조롭기만 하다. 어사용이 담고 있는 탄식의 내용은 대사회적 비판, 소외감, 고독, 자신이 처한 현실 등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웃음을 통해 현실의 비애감을 덜어 내려는 민중적 미의식으로 승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양상은 어사용을 향유한 계층의 성격을 말해 주며 개별적인 노동 상황에서 불려지는 사적인 노래이기에 가능하다고 보인다. 탄식의 기저에는 자신이 속한 사회에서 소외되고 차별된 타자적 삶을 살아야 한다는 현실인식이 자리한다. 어사용은 냉혹한 현실인식을 기반으로 자기 삶을 살지 못한다는 자의식을 지닌 이들의 한스러운 욕망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오늘날 거대한 자본에 고용되어 그 안에 길들여져 가며 서식해야 하는 현대인들에게도 공감으로 다가오는 노래라 할 것이다.

Eosayong is a song that was sung on the labor field to which lower-class men go for gathering firewood. Eosayong contains a sigh of lower-class men who need to make a tired life, instead of affirmative and optimistic self-recognition shown by the collective work song, which had been sung by men. Eosayong, which indicates the typical looks in a song of being sung while sighing alone, contains a scarred desire in the lower-class men who had been unable to make their desired life. Words in Eosayong are combined centering on the certain formulaic phrase same as the folk-song general. However, the aspect of combination between these formulaic phrases shows the aspect of being combined flexibly according to emotional direction in a traditional narrative singer. The contents of a sigh in Eosayong include criticism against society, alienation, loneliness, and own reality that is faced, but are also sublimed into popular aesthetics of trying to alleviate a sense of sorrow in reality through a smile depending on a case. This aspect indicates the characteristic in the class that had enjoyed Eosayong, and seems to be possible because of a private song that is sung in an individual labor situation. In the base of a sigh is positioned the recognition of reality that oneself needs to make a life as the other existence that is eternally isolated and discriminated in society to which oneself belongs. In a sense that Eosayong contains the lamentable desire of people who have self-consciousness of failing to make own life based on recognition of the ruthless reality, it will be said to be a song that gives deep echo to modern people who need to get accustomed to live in it with being employed by huge capital in today.

국문초록

1. 홀로 탄식하며 노래하기

2. 어사용의 사설 실현 양상

3. 어사용에 나타난 탄식의 양상

4. 탄식, 그 한스러운 욕망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