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우연히 발견된 조직침윤을 동반한 호산구증가증의 진단과 치료: 2예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Incidental Eosinophilia with Tissue Infiltration: Two Cases

  • 17
113828.jpg

호산구증가증은 절대호산구수가 500/μL 이상일 경우로 정의하고, 절대호산구의 수에 따라서 경증(500∼1,500/μL), 중등증(1,500∼5,000/μL), 중증(≥5,000/μL)로 분류한다. 많은 수의 경증 호산구증가증이 검진 상에서 우연히 발견되나, 이에 대한 뚜렷한 진단과 치료지침은 알려진 바가 없다. 본 2증례에서 저자들은, 경증 호산구증가증의 경우 침습적인 조직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채, 배제진단과 경험적 치료를 통한 추적관찰로 정상화되는 과정을 경험하고, 호산구증가증의 진단과 치료의 접근 방법을 고찰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Eosinophilia is defined as an abnormal increase of eosinophils in the peripheral blood over 500/μL and can be classified as mild (500~1,500/μL), intermediate (1,500~5,000/μL), severe (≥5,000/μL) according to AEC (Absolute Eosinophil Count). Although a number of cases with mild eosinophilia are found during the periodic health examination, there are no definite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eosinophilia. In this report, we present two cases of mild eosinophilia with tissue infiltration, which were first differentially diagnosed to rule out other possible causes without performing any invasive tissue biopsy, that were normalized by regular follow up and empirical therapy.

Abstract

서론

증례

고찰

참고문헌

국문요약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