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자연마을 지명 후부요소 ‘마을’의 변이 연구
A Study on the variation of ‘ma-eul’ in Busan villages'names
- 동남어문학회
- 동남어문논집
- 동남어문논집 제37집
-
2014.0535 - 57 (22 pages)
- 189

본 연구는 부산의 자연마을의 지명의 후부요소인 ‘마을’의 다양한 변이형을 추적하여 그에 따른 자연마을의 지명 연원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일반적으로 지명 후부요소 ‘마을’은 ‘말, 몰, 마’로 축약되어 나타나는 것으로만 보고되었지만 부산 지명을 대상으로 분석해 본 결과 ‘말’은 다양한 변이형으로 나타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부산 자연마을 지명의 후부요소인 ‘마을’은 원래 신라어 ‘모라(牟羅)’에서 기원한 지명이다. ‘모라’는 ‘mVrV'구조에서 아래아의 변이에 따라 ‘’, ‘모루’, ‘무루’ ‘무로’로 바뀔 수 있고, 음절 축약이 일어나면 ‘’로 나타난다. 이 ‘’은 ‘몰, 물, 말’ 등의 세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말’을 한어화한 지명은 ‘마(麻, 馬)’형과 ‘두(斗, 豆, 荳, 頭, 杜)’형의 두 가지 유형으로 변이되며, 이중 ‘두(頭)’형 지명은 ‘머리’로 재변이되어 나타난다. ‘몰’은 ‘모리’로 나타날 수 있으며, 동부경남 지명에서는 출현 빈도가 낮은 편이다. ‘물’은 한어화 지명으로 ‘물(物, 勿)’형으로 나타나거나 ‘수(水)’형으로 변이된다. 이러한 변이를 고려하여야 부산 지명의 연원을 정확히 밝힐 수 있으며, 나아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지명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different variation of the term ‘ma-eul’. As a result of the study, ‘ma-eul’ stemmed from Shilla word, ‘mora’. And ‘mora’ is presented as ‘mʌl’ if an abbreviation of syllable occurs from the ‘mVrV’ syllable structure. Based on the variation of vowels, ‘mʌl’ can be transform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 ‘mol’, ‘mul’, and ‘mal’. First of all, ‘mal’ can be altered into two different types, ‘ma(馬, 麻)’ type and ‘do(頭, 斗, 豆, 荳, 杜)’ type if it transforms to a Chinese character. ‘do’ type can be transformed into ‘meo-ri’ type. Secondly, ‘mol’ can be transformed into ‘mo-ri’ type. However, it is rarely found in East Gyeong-nam region. Finally, ‘mul’ can be represented into ‘mul(物, 勿)’ type which also altered into ‘su(水)’ type.
초록
1. 들어가기
2. 마을 지명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
3. 후부요소 ‘마을’의 변이 형태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