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치유와 폭력 사이

Between Cure and Cruelty: Psychoanalysis and Perversion in Lacan's Analyst's Discourse

  • 819
113985.jpg

라캉(Jacques Lacan)의 네 가지 담론 중 분석가담론(analyst's discourse)은 주인담론(master's discourse)과 대학담론(university discourse)의 억압적 지배를 극복하고, 주인에 대한 히스테리담론(hysteric's discourse)의 애매한 태도를 넘어서는 대안적 담론으로 흔히 이해된다. 분석가는 피분석자가 자신의 욕망의 원인과 대면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주체의 환상 가로지르기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분석가담론은 또한 지식이 진실의 위상을 지닌 유일한 담론이기도 하다. 그것은 임상적 수준에서는 치유의 담론이요, 정치사회적 수준에서는 해방의 담론이다. 하지만 분석가담론은 기이하게도 도착(perversion)의 가능성을 내부에 품고 있다. 분석가담론의 윗부분, 즉 행위자와 타자의 자리가 만들어내는 정식(a → $)은 그대로 도착의 정식(a ◇ $)으로 해석될 여지가 충분한 것이다. 이러한 분석가담론과 도착 사이의 기묘한 유사성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 해방의 담론으로만 보이던 분석가담론은 도착적 폭력의 성격을 띤 억압의 담론으로 보이기 시작한다. 이 논문은 분석가담론이 지닌 도착과 치유의 이질적인 가능성을 살펴보고, 라캉의 도착이론과 분석가담론의 비교분석을 통해 양자 사이의 구조적 차이를 이론적으로 해명하고자 한다. 특히 라캉의 「사드와 함께 칸트를」("Kant with Sade")과 『세미나 17권: 정신분석의 이면』(Seminar XVII: The Other Side of Psychoanalysis)에 주목하여 분석가담론을 해석함으로써 결국 부인(disavowal)이 정신분석과 도착을 가르는 핵심 구조임을 밝히고, 이의 윤리적 함의도 점검한다.

Jacques Lacan's analyst's discourse is generally considered an alternative one that subverts the repressive regime of both the master's discourse and the university discourse, and that surmounts the hysteric's discourse's ambiguous attitude toward a master. The analyst typically helps the analysand traverse the fundamental fantasy by leading him or her to face the real cause of desire. The analyst's discourse is, after all, the only discourse in which knowledge has the status of truth. It is clinically the discourse of cure, and politically that of liberation. What is striking about the analyst's discourse, however, is that it contains the unexpected possibility of perversion in itself. In other words, the formula that the upper part of the analyst's discourse produces (a → $) is none other than one for perversion (a ◇ $). The analyst's discourse then appears to be that of perverse violence and cruelty rather than liberation. This paper clarifies the structural difference between analysis and perversion by examining Lacan's theory of perversion along with the analyst's discourse. Lacan's seminal texts, "Kant with Sade" and Seminar XVII: The Other Side of Psychoanalysis will reveal the contrasting possibilities of cure and cruelty embodied in the analyst's discourse, and eventually unveil "disavowal" as the very structure that differentiates perversion from analysis. Perversion disavows the lack in the Other whereas analysis confronts us with the lack.

Ⅰ. 들어가며

Ⅱ. 도착의 구조

Ⅲ. 분석가담론과 도착의 담론 사이

Ⅳ. 정신분석과 윤리

인용문헌

국문초록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