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시가에 나타난 노년 여성의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Aged women' aspects of shape in Poetry of Late Choson and meaning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제23권
-
2011.1257 - 85 (28 pages)
- 147

이 논문은 조선 후기 시가에 나타난 '노년 여성'의 형상화 양상을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노년 여성'은 '남성 중심 이데올로기'로부터의 소외와 '젊음(아름다움)'으로부터의 소외로 인해 이중 타자화된 존재로 살아가게 된다. 가부장 이데올로기가 고착화된 조선 후기를 살아간 '노년 여성'에게 '잘 나이들기'란 애초에 불가능한 소망이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조선 후기 시가에 나타난 '노년 여성'의 형상화 양상을 살펴 본 결과, 첫째 가부장적 질서를 내면화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타자화된 존재로 살게끔 한 가부장적 이념이 '노년 여성'에게는 너무도 익숙한 관념으로 자리잡은 것이다. 둘째, 모습은 추레하게, 행동은 볼썽사납게 묘사되었다. 노년 여성은 신성하지도 규범적이지도 못했기에 존경의 대상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셋째, '노년 여성'의 성적 욕망은 희화화되었다. 성적 욕망은 인간의 보편적 감정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노년 여성에 의한 것이면 저열한 욕망으로 그려졌다. 진지한 목소리로 진술되지 못했다. 이렇게 조선 후기 시가에 나타난 '노년 여성'은 진지하게 자신을 성찰하는 존재로 여겨지지 않았다. 근대에 들어서는 '노년 여성' 관련 담론자체가 자취를 감춘다. 새로운 시대에 새로이 부각된 주체는 '청년[소년]'과 '신여성'이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고찰은 훗날을 기약하고자 한다.
This thesis is aimed to studied 'Aged women' aspect of the shape in Poetry of Late Choson. 'Aged women' living in Double Othering existence. 'Aged women' living in Patriarchal ideology at the Late Choson is impossible to 'aging wel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irst, Internalized the patriarchal order was able to find out. a patriarchal ideology which be alive in Existence Othering is located too familiar with notion to 'Aged women'. The second, the shape is shabbiness, and the action is ugly. Neither divine nor did the average Aged women was not considered respectable. The third, 'Aged woman's sexual desire was the caricature. Nevertheless Human sexual desire is a universal emotion, Aged women's sexual desire is thought that the vulgarness. Serious voice was not. 'Aged women' appeared in Poetry of Late Choson was not considered to existence of serious self-reflection. In modern, Women's discourse itself disappeared. New stand out existence at New Times was 'Young people' and ' The modern woman'. For more discussion on this would like to pledge the future.
국문초록
1. 연구 목적과 그 이유
2. 이중 타자화 된 존재 '노년 여성'
3. 조선 후기 시가 속 '노년 여성'의 세 모습
4. 조선 후기 시가의 '노년 여성' 형상화 양상의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