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적 사법처리절차로 인한 낙인효과를 회피하고 재범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사ㆍ기소ㆍ재판ㆍ교정에 이어어지는 형사절차에 기소유예ㆍ선고유예ㆍ집행유예ㆍ가석방과 같은 각종의 유예제도가 도입되고 있는 데, 이러한 유예제도 중에서 검찰단계에서 행하여지는 범죄소년에 대한 유예제도가 이른바 「선도조건부 기소유예제도」이다. 「선도조건부 기소유예」는 이미 시행하고 있던 제도를 개정 소년법에 명시하여 입법적 근거를 명확히 하였을 뿐만 아니라, 선도조건에 당사자의 동의를 통하여 소년의 자발적인 회오와 반성의 계기가 마련되었음을 확인하고 있다. 「선도조건부 기소유예제도」는 범죄소년이 공식적인 사법절차로 처리됨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낙인효과를 방지한다는 「다이버젼」의 이념과, 처벌보다는 민간인의 선도를 통해 범죄소년의 사회복귀를 도모한다는 취지하에 출현한 제도이다. 「다이버젼」과 소년의 사회복귀라는 최근의 형사정책적 조류에 부응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이 제도의 정당성은 인정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가의 공적 조직만이 아니라 민간인들이 범죄인의 처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는 최근의 형사정책적 조류가 이 제도에 반영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이다. 나아가 범죄소년의 재범방지에도 어느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도 매우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2007.12.21. 공포(6개월의 경과기간) 2008.6.22.부터 시행된 소년법에 「선도조건부 기소유예」의 근거를 명문화함과 동시에 선도의 내용을 범죄예방자원봉사위원(법사랑위원)선도, 소년 선도ㆍ교육과 관련된 단체ㆍ시설에서의 상담ㆍ교육등으로 다양화하였다. 이 규정의 신설에 따라 금후 「검사의 조건부 기소유예 처분」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기소유예 처분을 받는 소년의 재범율을 낮출 수 있는 대책이 요망된다. 그리하여 금후 다음의 문제에 유의하여야 한다. 첫째, 검사의 일방적인 「선도조건부 기소유예 처분」에 대하여 당사자가 불복할 수 있는 「이의신청제도」가 마련되어야 하며 소년사건을 처리함에 있어서 일관된 기준의 설정이 요망된다. 둘째, 범죄예방위원의 적극적인 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요망된다. 동시에 국가의 재정적 지원과 이들을 관리ㆍ감독ㆍ원조하기 위한 공식기구의 창설이 요망된다. 또한 소년사건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소년사건 전담검사제」가 요망된다. 셋째, 선도유예처분에 대한 당사자의 동의제도가 요망되며, 장기적 계획으로 소년법원의 선도보호처분권과 「검사의 선도조건부 유예처분시」 법관의 동의제도 등의 검토가 요망된다. 넷째, 「보호관찰 등에 관한 법률」 제15조 제3호에 의거 「보호관찰소 선도유예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한편 「선도조건부 기소유예제도」는 범죄소년의 죄질과 범정을 고려하여 재범가능성이 희박한 모든 범죄소년을 대상자로 하고 있다.
The New Revised Juvenile Act introduces several important provision for juvenile offenders. They are The Suspension of the Prosecution with the Supervision, the Protective Disposition, Recommendation toward Reconciliation, the Investigation System before prosecutors judgement, etc. Among them which The New Revised Juvenile Act introduces, newly established system is The Suspension of the Prosecution with the Supervision (§49-3). Juveniles should be the target of protection rather than punishment even if they commit a crime, because they are an immature being and are easy to be influenced by environment. The prosecutor is granted discretion to decide whether juvenile cases should be tried in criminal court or transfered to juvenile court. Based on such a discretion, the Suspension of Procecution with Supervision programm has been first implemented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Kwangju District Public Posecutors' Office since 1978. And this programm has been expanded nationwide by Circular 88 of the Ministry of Justice since 1981. The Suspension of Prosecution with Supervision programm is a kind of juvenile diversion programm in which volunteers provide supervision, counseling, schalaship, job placement and other services for juvenile offenders. To recent statistics, many of the juvenile offenders are referred to this programm. In order to promote the The Suspension of the Prosecution with the Supervision of the Juvenile Law, it is necessary to improve relevant laws on the juvenile accidents and change the recognition of persons in charge of juvenile accidents, and it is urgent to improve and promote various investigation systems for the c-orrect information on juveniles. The recidivism rates of juvenils who may be subject to the Suspension of the Prosecution with the Supervision a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juvenile offendrs who were handled otherwise by prosecutors. To this extent, the Suspention of Prosecution with Supervision programm may be said to be rather effective in the prevention of crime and rehabilitation of juvenile offenders. In this study some problems of this programm are revealed. Among them, it is perhaps the most serious problem that certain conditions imposed by the prosecutor may unduly infringe constitutional rights of juveniles, because there are no legal grounds for the prosecutor to sanction any offender who is presumed to be lnnocent untill convicted. This problem may thus be blamed for being a great impediment to more wide utilization of this program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now suggest that provisions on the Suspension of Prosecution with Supervision should be prescribed in Juvenile Act. The New Revised Juvenile Act introduces The Suspension of the Prosecution with the Supervision. Besides, detailed standards for the selection of juvenils who may be subject to this programm and its consistant application in practice are essential to avoid the disparity in handling of juvenile offenders This study is consequently necessary to effective measures to advance corrections and rehabilitation for reducing recidivism, and to effective measures to activite volunteer work in corrections and at the sametime helpful to Issue and challenge to prevatization of Corrections, housing and employment Assistance for ex-offenders through estabishing and promoting social enterprise
Ⅰ. 들어가며
Ⅱ. 내용
Ⅲ. 개선방안
Ⅳ. 맺는말
국문요약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