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劒僧傳> 서술자의 정체성 연구
A Study on the Narrative Identity of <Geomseung-Jeon>
- 한국고전연구학회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 제16권
-
2007.12197 - 225 (28 pages)
- 277

<검승전>은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 정예병으로 출전하였다가 조선에서 중이 된 검승의 전이다. 그런데 본문에서는 검승에 대해 서술하고 있지만 논찬부에서는 검승이 아니라 그의 스승인 조선인 검사에 대해 주로 논평하고 있어 문제적이다. 본고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검승전>의 입전인물인 검승의 이야기는 학산한언의 ‘맹감사 이야기’에도 나타난다. 그런데 두 텍스트에서 검승이 재현되는 방식이 차이가 있다. 즉 <검승전>의 경우 검승은 실체를 확인할 수 없는 ‘객’에 의해 초점화되는 반면, ‘맹감사 이야기’에서는 맹주서라는 실재 인물에 의해 초점화된다. 따라서 ‘맹감사 이야기’에서 서술자는 ‘맹주서’라는 실재 인물이 검승을 만나서 들은 이야기를 그대로 기록하고 있다. 반면에 <검승전>에서는 가상의 초점화자를 설정함으로써 검승의 이야기를 재구성하고 있다. 곧 본문의 서술 대상과 논찬부의 논평 대상의 불일치는 <검승전>의 서술 목적이 검승이라는 인물, 또는 그의 기이한 이야기의 기록에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다양한 인물들에 대한 서술 뒤에 남는 것은 결국 서술자 자신이다. <검승전>의 서술자는 이야기의 재구성을 통해 형상화된 여러 인물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기 자신을, 자기 자신에 대해 진술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검승전>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서술하고자 하는 ‘자기서사’인 것이다.
<Geomseung-Jeon> is a retrospection of a monk, Geomseung who had participated in the Japanese invasion of Chosun Korea in 1592. He was a swordsman of Japanese army. So, the experience of Geomseung is narrated in the body of the text. But the narrator comment and criticize another character, Korean swordsman who was a preserver and teacher of Geomseung. There is the same story of Geomseung at <Story of Maeng-gamsa>, 《Haksanhaneon》. But a representation method of <Geomseung-Jeon> is diferrent from <Story of Maeng-gamsa>. In the case of <Geomseung-Jeon>, Geomseung is focalized by a certain person who is unsubstantial. On the other hand, in <Story of Maeng-gamsa>, Geomseung is focalized by Maeng, Ju-seo who is a real person. Therefore, the narrator of <Story of Maeng-gamsa> records the story of Geomseung as Maeng, Ju-seo saw it. But, the narrator of <Geomseung-Jeon> reconstruct the story of Geomseung by making a unsubstatial focalizer, a fictional witness. The narrator of <Geomseung-Jeon> does not record a story of Geomseung but state oneself from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Geomseung and the swordsman. So <Geomseung-Jeon> is a kind of self-narratives.
국문초록
Ⅰ. 서론
Ⅱ. 石北의 <劍僧傳>과 鶴山의 ‘맹감사 이야기’
Ⅲ. <검승전>의 서사화 방식
Ⅳ. 서술자의 정체성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