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사족 여성의 생활과 문화
The life and culture of the noble woman in the 17th century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제6권
-
2003.06161 - 192 (32 pages)
- 420

본고는 17세기 사족 여성의 생활과 문화에 관해 서술된 자료를 제시하고 분석하고자 작성되었다. 17세기는 조선 사회가 가부장제 사회로의 편입을 모색하는 시기였던 만큼 이 시기 사족 여성의 삶 역시 이전 시기와 다른 모습을 보인다. 이에 본고는 17세기의 사회 문화 정치 체제가 사족 여성의 생활과 문화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주었는 지 구체적 사례를 통해 미시적으로 접근하여 보았다. 17세기 조선사회는 가족의 통치를 국가 운영의 기본 방침으로 삼았다. 사족가의 모든 개인은 가문의 구성원으로 존재하며 가문 내에서 평가받고 통제되었다. 특히 사족 여성은 가문 중심의 가족 문화 속에서 그들의 삶과 생각을 규정받았다. 그들의 생활과 의식을 형성했던 가문 중심의 가족 문화를 전반적인 배경으로 인식하고 사족 여성에게 걸었던 사회적 기대, 교육, 역할, 문화를 살펴보았다. 사족 여성은 가족과 사회의 기대를 받으며 탄생하고 성장했으며 고금의 역사를 판단하고 비판하는 안목을 키울 만큼 교육을 받았다. 그들은 자식을 엄격하게 가르치는 교육자였으며 남편과 아들에게 사회 정치적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시하는 조언자였다. 집안의 가계 경영과 치산을 담당하며 필요한 경우 주저하지 않고 노동력을 제공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사족 여성은 비록 제한된 문화적 여건에 처했지만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고 성취하며 문화적 저력을 키우기도 하였다. 본고는 구체적인 생활사 자료를 제시하고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17세기 사족 여성이 가부장제 사회, 유교 이념이라는 거대 담론 속에서 어떤 생각을 하며 그들의 영역을 만들어 갔는 가를 유기적으로 고찰할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I think it is very helpful to examine how the special time and social system affect the woman's individual life. So this thesis intends to reveal and analysis microscopically the life and the culture of the noble woman in the 17th century through the writings, like Jemun, Myojimyeong, and Hangjang. The 17th century in Chosun dynasty is the time when the Confucianism is fixing its seat. The noble women in the 17th century had lived in the culture which stresses one's family. They were born and brought up in the expectation of their parent and their family. Even though they weren't educated formal and systematic education, they studied confucian texts and were educated to criticize history and the world. They taught their children strictly as an educator. They expressed social view and gave advices to their husband and son in spite of being forbidden social life, so they helped them to accomplish social responsibility indirectly. They managed their property aggressively not only maintaining household economy but also making money. In other words, they presented productive labor. They enjoyed cultural life and develop their artistic tastes. They were the woman who lived faithful life as a mother who had the educational goal and the identity and a wife who had social issues and expressed their outlook on the world. The noble woman in the 17th century didn't live a passive life, they lived independently.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17세기 가족문화와 사족 여성의 지위
3. 사족 여성의 생활과 문화
4. 맺는 말
참고 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