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壼範』에 나타난 여성 독서의 양상과 의미

The aspect and meaning of woman's reading in Gonbeom

  • 104
113998.jpg

곤범은 18세기 중후반 이후에 저술된 문헌으로 왕실여성을 비롯한 상층여성들이 읽었던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조선시대 여성들에게 권장 되었던 儒家 經書들과 성리학 이론서, 그리고 여성들의 구체적인 삶을 서술한 傳ㆍ誌文ㆍ行狀들이 수록되어 있다. 특히 유가 경서와 성리학 이론서를 수용한 점은 여성독서의 새로운 양상을 보여준다. 곤범에는 여성들의 독서를 재구성하려는 의도와 함께, 여성들의 삶을 재구성하려는 기획자의 의도가 개입되어 있다. 우선 가족이라는 것이 중시되어 가내의 문제를 원활히 해결하고 화평을 이룩할 수 있는 인간적 덕목들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인간적 덕목들은 가장 이상적인 감정의 교류와 처리를 지향하면서 親親의 禮를 중시하는 심성론적 인간형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여성들에게 가족내의 대내적인 역할과 심성적 배려에 의한 예의 덕목을 강조하면서도 그 관심의 폭을 수신제가에 한정하지 않고 治國의 영역에까지 확대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Gonbeom 壼範 came out after the mid-eighteenth century. This book was reading by the upper class woman including royal woman. The Bibles of Confucianism, the theory books of Neo-Confucianism, and the jeon 傳, jimun 誌文, haengjang 行狀 were carried on this book by woman's reading course. It show new trend on woman's reading that the Bibles of Confucianism and the theory books of Neo-Confucianism were accepted positively. The planner of Gonbeom designed woman's reading and woman's life. Before anything else, the planner demanded family mind by the fundamental unit of society, and woman for family. For solve in-family emotion matter, A human type of Simseongnon 心性論 and yeron 禮論 suggested. It emphasized a woman's role in domestic area of family and a virtue of ye 禮 by emotional care, but the interest width was extended to national management.

<국문초록>

1. 문제 제기

2. 보았던 책들

3. 주목했던 내용들

4. 곤범에 나타난 여성의 형상

5. 맺음말

참고 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