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문화콘텐츠 창작소재화의 문제점과 대안

The Culture Contents and Rsource for Creation

  • 148
113408.jpg

본고는 고전문학 연구자들이 문화콘텐츠의 창작소재를 제공하는데 있어 실무적인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대안제시를 목표로 한다. 대표적인 창작소재화 사업인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의 <문화원형 사업>이 인문학과 산업계의 상생적 조우를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는 있으나 실질적인 콘텐츠 제작의 단계까지 이르지 못하는 맹점을 지니는데 착안하여 시작된 작업이었다. 우선 고전문학처럼 텍스트로 원형이 되어 있는 것들을 시각화하는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텍스트의 시각화는 시각성(Visuality)을 복원하는 작업으로 개인별 경험이나 취향에 따라 다양하여 표준적이고 객관적인 결과물을 얻기 어려운 점이 있다. 하지만 문화산업은 물론이고 고전문학 연구자들까지 전략적 접근과 체계적인 기획으로 문제점을 극복해야 하는 상황에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시각적 원형자료가 있는 경우와 반대의 경우로 나누어 나름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의 성공여부를 떠나 앞으로도 체계적인 방법론의 모색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하겠다. 다음으로 콘텐츠 개발 단계의 실효성을 위한 과제들을 살펴보았다. 첫번째 과제는 콘텐츠 개발자의 역할규정이다. 콘텐츠 개발 단계가 실질적인 제작 시스템으로 정착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콘텐츠 기획과 개발의 연결단계까지를 개발자의 임무로 봐야한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멀티콘텐츠 제작프로젝트 - 용궁대전>의 경우에 국한된 것으로 콘텐츠 개발자의 역할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논의해야할 사항이다. 두번째 과제로 콘텐츠 소스의 모듈화를 언급하였다. 향유지들이 접하게 되는 콘텐츠는 매체에 띠라 다양하므로 개발된 원천소스가 앞으로 제작될 콘텐츠의 장르와 향유 대상에 맞도록 규격이 표준화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research for practical problem in processing as Culture content and make a counter proposal. The Project of transforming cultural archetype into digital contents` has set up by The Korea Culture and Contents Agency(KOCCA) is important in Human science and Culture industry. But It keeps the blind spot which cannot reach until the phase of substantial contents production. First of all like classical literature is becoming with text it tried to observe the problem. Visuality is very difficult to get the standard and objectivity outcome goods. Because it follows in personal experience or idea and it is various. But The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ers-Of course Culture Industialist - is to a situation must overcome a problem in strategy approach and system planning. From like this point of view it shared with case of the case which has visual archetype data and opposition. And It presented the methodology of depending on. System Methodology is necessary without successful yes or no of result. In afterwords, it tried to observe the subjects for the lapse characteristic of contents development processing. The first subject is role regulation of the contents developer. The developer must connect a planning processing and a development processing from the situation where the contents development processing does not become fixed with substantial production system. The second subject is The module of contents source. The standard of resource for creation must be standardized for media.

국문초록

1. 서론

2. <바다 속 상상세계의 원형콘텐츠 개발> 개요

3. 창작 소재화의 문제점과 대안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