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16세기 말 17세기 초 사상사의 흐름 속에서 본 <雲英傳>

Woonyoungjeon in the stream of thought from the late 16th to the early 17th century

  • 1,006
113999.jpg

<雲英傳>은 16세기 말 17세기 초 동아시아 초유의 격변기에 창작된 작품이다. 이 시기는 사회의 격변만큼 사상적ㆍ문예적인 방면도 매우 도전적인 변화가 진행되었다. <운영전>은 바로 이런 격변의 시기의 가장 문제적인 작품으로 상정될 만 하다. 본고에서는 그동안의 작품내외적 연구를 참고하되, 작품에 대한 다시 읽기와 16세기 후반 17세기 초 사상의 흐름과 文風의 변화를 통해서 <운영전>이 과연 어떤 사상사적 기반 위에서 탄생했던가 하는 점을 추적해 보았다. 우선 이 시기 사상사의 흐름에서 주목한 것은 16세기 전반에 소개된 陽明學의 도입과 전란 시기 전후 양명학의 확산이다. 이는 기존 주자학의 변화 와중에 파생된 것이지만, 의외로 빠른 속도로 조선에 퍼지고 있었다. 이런 사상사의 변화와 아울러 문예 분야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던 바, 唐詩風의 유행이 그 대표적이다. <운영전>은 이런 사상과 문풍의 변화를 상당 부분 반영하고 있다. 雲英이 사랑을 키워가면서 점점 자의식을 가지게 되고, 그 사랑은 불가능의 현실을 박차게 한다. 그것은 '情慾의 긍정'이었다. 그러나 결국 자결하고 만다. 安平大君의 진노도 누그러뜨렸으나, 그 뒤에 둘러쳐진 '사회'라는 엄연한 현실에 좌절하고 만 것이다. <운영전>의 이같은 문제의식은 유교 이데올로기에 대한 회의에 다름 아니다. 지금까지 이런 근본적인 회의를 보여준 전기소설은 따로 없었다. 이 시기에 점증하던 양명학적 사유가 반영되지 않고는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다. 성정을 긍정하는 당시풍의 만연과 '良知'를 미루어 정욕의 긍정에 이르게 되는 양명학적 사유의 결합이 <운영전>에서 간취된다. 본고는 이 점을 시론적으로 개진한 것이다. 앞으로 이는 문예사, 사상사 차원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논의될 필요가 있다.

Woonyoungjeon was approximately written in the late 16th or the early 17th century, the unprecedented upheaval of East Asia. In this period, the current of thought and literature was changing as rapidly as society. Woonyoungjeon deserved to be mentioned as the most problematic work of this period. I tried to trace what kind of basis of thought Woonyoungjeon was written on. In order to study this, I reviewed the text and looked into the stream of thought and change of literature from the late 16th to the early 17th century, relying on textual and socio-historical survey of the work. First, I paid attention to introduction of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in the early 16th century and spreading of it during the time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t was unexpectedly wide-spread although it was derived from change of the existing doctrines of Chu-tzu. In addition to change of the stream of thought, there was a big change in the field of literature as well: the style of Tang poetry a la mode. Woonyoungjeon reflects this change of thought and literature pretty well. The more Woonyoung was falling in love, the more she got to be self-conscious, and her love made her breakthrough unavoidable wall of reality. It was an affirmation for sensual desire. Nevertheless, she committed suicide. She even pacified Anpyungdaegoon's anger, but she got frustrated by the hard reality of what is called 'society' surrounding her. This critical issue of Woonyoungjeon is no more than a doubt on Confucian ideology. Until now there had not been such a chuanchi showing a drastic skepticism like this. It cannot be explained without thinking of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increased gradually in those days. Through Woonyoungjeon we can see combination between the vogue of the style of Tang poetry(which affirmed human nature) and thinking of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which came to an affirmation for sensual desire from intuitive knowledge). For the first time, I essayed this viewpoint. I think, from now on, it is necessary to have a specific inspection in the level of history of literature and thought.

<국문초록>

1. 왜 다시 <雲英傳>인가?

2. 16세기 후반 17세기 초 사상사의 흐름과 文風의 변화

3. <운영전> 다시 읽기

4. <운영전>의 사상적 기반

5. 남는 문제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