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연구 자료로서 아직 연구자들에게 생소한 헝가리 문서보관소 소장 헝가리 외교기밀문서 중 일반행정기밀문서를 소개하는 글이다. 헝가리 외교기밀문서는 소위 '뛰끄(TÜK)'로 일컬어지는 정치, 외교 관련 기밀문서와 문화, 교육, 경제 관련 내용을 담고 있는 일반행정기밀문서로 분류된다. 지금까지 '뛰끄' 자료는 국내외에서 일부 공개되어 연구자들에게 제공된 적은 있지만 일반행정기밀문서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알려진 바가 극히 드물다. 본고에서는 헝가리 외교기밀문서에 대한 개관과 아울러 1955년 평양에서 생성된 북한문학을 개관한 보고서 전문을 소개한다. 한국전쟁 기간 중 발생한 북한의 전쟁고아 200명이 1951년 11월 23일 처음으로 헝가리에 도착한 이후 그들 대부분이 출국하게 되는 1956년 12월까지 헝가리는 1,000명 내외의 북한 전쟁고아 및 유학생들의 교육을 '이데올로기적 형제 국가'로서 책임지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 및 예술관련 정보 보고들이 상당수 존재하며, 당시 북한 문예계의 생생한 보고들 또한 관련 전공자들에게는 흥미로운 자료일 것이다. 본고에서 소개하는 자료는 비록 헝가리의 외교관이 보고한 북한 문학의 개요이지만, 그 내용으로 봐서는 1955년 말, 북한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고 회자되는 내용들의 요약이므로, 당시 북한 문학 관련 종사자들, 혹은 일반인들 사이에서 인식하고 있는 일상적 문학관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n Peninsula came to be divided into two different Koreas that had their own regime and ideology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Similarly, Hungary had a socialist regime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Soviet Union. Hungary signed a treaty of amity with North Korea in 1948, because they shared the same ideology. As for the archive, the treaty meant that both countries began to communicate regularly and periodically exchange official documents, and these documents would be kept in the archive. These documents were kept and managed in one corner of the archive. However, South Korea prohibited communications with socialist countries because of the Korean War and the Cold War, so it was impossible to access the documents in the archive at that time. But the exsocialist countries experienced regime change, and as the countries changed, the public demand, on political grounds, for documents of the past regime became quite profound. Accordingly, the archive made it possible to examine a large number of documents as a proper follow-up measure, in accordance with Hungarian domestic laws concerning the storage and management of the documents. The documents presently available in the archive can be divided into two general types: 1) official documents o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regarding general foreign affairs and administrations; and 2) documents regarding overseas Hungarian officials, especially the contents of reports from diplomats who dealt with pieces of information in the Hungarian embassies located in Seoul and Pyongyang. In particular, the documents of the latter are treated as confidential documents (titkos ügykezelés as abbreviated as TÜK, and translated as "confidenti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the materials from between 1949 and 1989 amount to more than 50,000 page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former, official documents o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regarding general foreign affairs and administration, are less valuable than the latter. These two sections are closely connected and provide us with another paradigm on the modern history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the history of diplomacy.
국문초록
1. 헝가리 문서보관소 소장 남북한 관련 헝가리 외교기밀문서 개관
2. 헝가리 외교문서, 「해방 이후 시기의 조선 문학 발전과 주요 문제들」 전문 및 해석(interpretation)
3. 소고를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