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차 해소 실천과제 이행을 위한 기초조사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How to Resolve Gender Gap
-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2014 연구보고서(수시과제) 4
-
2014.071 - 158 (157 pages)
- 21

1. 조사개요 가. 조사목적 ○ 여성가족부가 성 격차 해소를 목적을 설치한 <여성인재활용과 양성평등실천을 위한 TF> 참여기업 및 기관 현황파악 ○ 참여기업 및 기관유형별로 실천가능한 TF활동 예측 ○ TF 참여기업 및 기관의 경험과 건의사항을 반영하여 활동계획에 반영 나. 조사대상 ○ 정부부처를 제외한 TF 참여기관 전체(100개기관)를 대상으로 조사 실시 - 조사지 회수 81개 기관 - 응답거절 혹은 조사기간 내 무응답 19개 기관 (대기업 3, 중견-중소기업/기타 4, 민간단체/연구기관 12개) ○ 그룹에서 계열사 2개 이상 참여한 사례가 있어 총 참여기관 수는 86개 (대기업 41개, 공기업/준정부기관 18개, 중견-중소기업/기타 12개, 민간단체/연구기관 15개) 다. 조사방법 ○ 이메일 및 전화조사 - TF 참여기관들은 자발적 의지에 따라 여성가족부에 참여의사를 밝혔으며, 참여기관에 공문으로 질문지를 발송하고 이메일, 팩스, 전화조사를 통해 응답지를 수거하였음. - 참여기관들에 질문지조사 협조요청 공문을 발송하여 응답지를 수거하였으므로 응답지 내용은 담당자의 개인적 의견이라기 보다 해당부서장의 검토를 받은 결과라고 볼 수 있음. - 조사기간 : 2014. 4. 20. - 2014. 5. 13. 라. 조사내용 ○ 조사내용은 1) 참여기관의 기본현황, 2) TF과제의 실천가능성, 3) 기타로 구성되었으며, 조사지는 "민간기업-공공기관용"과 "민간단체용"으로 구분하였음(부록 참조). - 민간기업-공공기관용 질문지는 조직 내부에서 실천과제의 추진가능성을 응답하도록 하였음. - 민간단체용 질문지는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실천과제의 추진 가능성을 질문한 것이 아니라 회원단체를 대상으로 실천과제의 추진 가능성을 질문하였음. ○ 질문지 조사영역별 조사내용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음. ○ 질문지는 "민간기업-공공기관용"과 "민간단체용"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여성가족부 관계자, TF 참여기관 담당자 4명이 예비조사에 참여하였음. 2. 조사결과 요약 가. 조사대상기관의 현황 ○ 조사에 참여한 기관 86개 중 민간단체 및 연구기관 15개를 제외한 기업 및 준정부기관 71개의 개략적 특징은 다음과 같음. - 71개 기관 전체의 여성근로자 수는 13만명 정도이며 이는 71개 기관 전체 근로자의 23.0%에 해당함. 2013년 신규채용인력의 여성비율은 44.8%임. 여성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8년 10개월, 월평균 임금은 399만원임. - 대기업(41개)의 여성근로자 수는 총 10만명 정도이며 이는 41개 대기업 전체 근로자의 23.1%에 해당함. 2013년 신규채용인력으로 한정할 경우 여성비율은 44.1%로 전체 여성근로자 비율보다 현저히 높음. 여성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8년 8개월, 월평균 임금은 404만원임. - 중견-중소/기타기업(12개)의 여성근로자 수는 총 4,329명이며 이는 12개 기업 전체 근로자의 30.5%에 해당함. 2013년 신규채용인력의 여성비율은 64.3%로 전체 여성근로자 비율보다 두 배 이상 높음. 여성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5년, 월평균 임금은 399만원임. -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18개)의 여성근로자 수는 총 25,389명이며 이는 18개 기관 전체 근로자의 21.5%에 해당함. 2013년 신규채용인력의 여성비율은 35.8%임. 여성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11년 1개월, 월평균 임금은 388만원임. ○ 민간단체(9개)의 2013년 기준 상시 근로자수는 612명이었으며, 남성 424명, 여성 188명으로 여성 비율은 30.7%임. ○ 연구기관(6개)의 상시 근로자수는 602명, 남성 327명, 여성 275명으로 여성비율은 45.7%로 남녀 비중이 비슷하였음. 나. TF과제 실천가능성 ○ <여성인재활용과 양성평등 실천을 위한 TF>에 참여하는 대기업(41개),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18개), 중견-중소기업 및 기타기업(12개), 총 71개 기관을 대상으로, 4개 정책영역에 걸쳐 53개 실천과제 사례를 제시하고 추진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상당수의 과제(평균 20개)가 이미 추진 중이지만 도입계획 중(3.8개)이거나 향후 실천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과제(16.8개)도 평균 20.6개로 나타나 TF 활동이 활발하게 추진될 가능성이 높음. ○ 실천과제로 제안된 53개 과제 중에서 이미 시행 중인 과제는 일-가정양립영역(49.4%)에서 가장 많고, 도입 계획 중이라는 과제는 모든 영역에서 10% 미만임. 향후 실천 가능한 과제로는 여성대표성 영역(41.2%)의 과제들이 가장 많았고, 앞으로도 실천하기 곤란하다는 응답은 여성고용확대 영역(14.9%)에서 가장 많음. ○ 기관유형별로 실천과제 추진가능성에 관한 조사결과를 분석해 보면 이미 시행 중인 과제 수는 공기업/준정부기관(평균 22.1개), 대기업(19.7개), 중견-중소/기타기업(18.0개) 순으로 많음. 이에 비해 제도 도입 중이거나 향후에 실천 가능한 과제 수는 반대로 중견-중소기업/기타 기업이 평균 22.5개로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action items that can make better use of female workers and that can achieve gender parity, which could be implemented by organizations or businesses participating in the "Task Force (TF) on Gender Parity and Empowerment of Women." The survey targets were all of the participant organizations in the Task Force (100 organizations) excluding government agencies. Out of these, 86 organizations responded to the survey (41 major companies, 18 public companies/ semi-government organizations, 12 SME/others, 15 civic groups/research organiza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via email and telephone, and took place from April 20, 2014 to May 13, 2014. The key findings were as the following. Of the 53 action items given as examples, organizations responded that they already had in place an average of 20 action items. An average of 21 actions items were planned to be introduced, or could possibly be adopted in the future. An average of 3 action items were thought to be difficult to introduce. The rate of the action items already in place was highest(49.4%) in "Action Items for Work-Life Balance". The rate of action items that might possibly be introduced in the future was highest in "Action Items Aimed at Improving the Representation of Women"(41.2%), while action items that would be difficult to introduce were most frequent in "Action Items Aimed at Increasing the Employment of Women"(14.9%). Finally action items that organizations responded that they had plans to introduce were less than 10% of all action items.
발간사
연구요약
Ⅰ. 서론
Ⅱ. 조사대상기관의 현황
Ⅲ. 실천과제 영역별 조사결과
Ⅳ. 요약 및 시사점
부록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