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연구보고서

여성 국회의원 증가에 따른 국회성 인지성 변화 분석

Analyzing Gender-Sensitive Change with Getting More Women Legislators in the National Assembly: Using IPU Framework

  • 83
114287.jpg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국제의원연맹(Inter-Parliamentary Union, IPU)은 전세계 국가들의 국회 내 성주류화 정책의 일환으로 최근 전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성 인지적 의회구성을 위한 조직 및 조치(Mechanisms and Measures for Gender Sensitive Parliaments) 그리고 정당과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양성평등과 관련한 조사를 수행하고 있음. - IPU의 성 인지적 의회구성과 관련한 조사는 국회 조직에서의 여성참여 확대를 위한 조치와 국회 성 인지적 의정활동 분석에 초점을 맞춤. -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한국에서도 여성 의원 비율이 16대 5.9%에서 17대 13.0%, 18대 13.7%(2011년 10월 현재 의원 승계 포함 15.1%)로 증가한 상황에서 16대에서 18대까지 여성 의원 증가에 따른 조직 변화와 함께 의정활동의 변화된 내용을 분석하고, 향후 국회 내 성주류화 강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 연구내용 1) 16대~18대 여성 의원 구성 현황 및 의정활동 성차 분석 - 여성 의원의 상임위원회 배치 현황 - 상임위원회 위원장과 간사 등 의사결정체계에의 여성 참여 비율 변화 - 법안 발의 및 가결의 성차 분석 2) 16대~18대 법률안 의제 설정 및 심사 과정에서의 성 인지성 변화 - 16대~18대 여성관련 법률안에 대한 남녀 의원의 심의과정 분석 - 의제설정 선호도에 대한 성차 분석 상임위 심의 과정의 성 인지성 분석 3) 여성 의원 증가에 따른 조직문화 변화 - 297명의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여성 의원 증가에 따른 조직문화 변화 내용 설문조사 및 결과 분석 4) 국회 내 성인지적 의정활동 강화를 위한 향후 과제 제시

The IPU(Inter-Parliamentary Union) has conducted the analysis of mechanisms and measures for gender-sensitive parliaments as well as gender equity to party and legislators across the world. At this report, we uses the IPU framework because the framework can apply to the national assembly situation that have participated more women legislators from the 16th national assembly(5.9%), to the 17th national assembly(13.0%), to the 18th national assembly(13.7%). This report handles the following things. First, the authors investigate the change of congressional policymaking process with more women in the national assembly. Second, we look into gender differences in bill making and the bill's passage and the change degree of taking women's issues in committees. Third, the authors examine the future tasks for gender-sensitive legislative behavior to male and female legislators. Fourth, we analyze the change level of organizational culture in congress and identify the need according to increase of congresswomen ratio. Fifth, the report suggests conclusion and future policy tasks. As a result, we find that congresswomen increase have positive impact on gender-sensitive congress and women policyrelated issues. Also, the increase of congresswomen ratio has positive influence on congressman attitude. Based on the results, the report suggests future policy tasks: ① increase representation of congresswomen in Congress and consider balanced participation of congresswomen in every Congress committee; ② give women legislators a priority over positioning chairman and secretary of relative importance committee such as economy, finance, foreign affairs and trade; ③ reinforce gender sensitive to legislator and provide guideline; ④ support gender-sensitive legislative behavior by forming a policy advocacy group for Women's issue development in party policy committee; ⑤ recommend active utilization of women in legislator's aid ⑥ intensify GEFC(Gender Equality and Family Committee) activity in congress; ⑦ promote family-friendly working condition in Congress; ⑧ improve women network and expanding public sentiments of women policy through forming congresswomen's association; ⑨ seek the change of pragmatic-biased legislation activity, develop SNS(Social Networking Services) policy, and strengthen legislator understanding of importance of SNS

발간사

연구요약

Ⅰ. 서론

Ⅱ. 국회 내 성 인지적 의정활동과 관련한 이론적 고찰

Ⅲ. 16대~18대 전반기 국회 의정활동 성차 분석

Ⅳ. 16대~18대 전반기 상임위 의제설정 및 심의과정의 성 인지성 분석

Ⅴ. 국회의 성 인지적 조직문화 변화 정도

Ⅵ. 결론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