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LiDAR 자료와 연계한 MD-FDA 기반의 홍수피해액 평가(Ⅱ)

MD-FDA based Flood Damage Assessment linked with LiDAR Data(Ⅱ) -Flood Damage Assessment with LiDAR and GIS Data-

  • 365
114412.jpg

본 연구에서는 LiDAR와 GIS 자료를 기반으로 다차원홍수피해액산정기법을 이용한 홍수피해액을 평가하였다. 먼저, LiDAR DEM 자료를 이용하여 홍수피해율 계산에 이용되는 침수심을 정밀하게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LiDAR로부터 계산한 연면적, 건축형태별 단가 그리고 세대수 정보를 연계하여 건물 및 건물내용물에 대한 홍수피해액을 평가한 결과 수택1동이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지적도를 기반으로 농경지, 농작물 그리고 비닐하우스에 대한 홍수피해액을 평가한 결과에서는 수택3동이 가장 높은 피해액을 보였으며, 마지막으로 KOPSS 시스템에서 생성한 산업체 레이어와 산업체 유형별 단가정보를 연계하여 산업체의 홍수피해액을 평가하였으며, 행정동 중에서는 수택1동이 가장 높은 피해액을 보였다.

This study evaluated the amount of flood damage using Multi Dimensional Flood Damage Assessment (MD-FDA) based on LiDAR and GIS data. First, this study could classify detailed flood depth used to calculate flood damage ratio from LiDAR DEM. Also the amount of flood damage to building and household items was evaluated through total building floor area from LiDAR, unit cost by building types and number of household. And based on analysis of those, Sutaek 1 Dong was analyzed the most highly. Sutaek 1 Dong marked the highest in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flood damage to farm land, crop and greenhouse based on cadastre map. Finally, this study assessed the amount of flood damage to industry linking with industry layer from KOrea Planning Support Systems (KOPSS) and unit cost by industrial types. And based on analysis of those, Sutaek 1 Dong showed the most highly among administrative districts.

요약

ABSTRACT

1. 서론

2. 다차원 홍수피해액 산정 방법

3. 연구대상지 및 사전 평가 자료

4. 적용 및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