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農巖 金昌協 詩論 考

A Study on the Nongam Kim, Chang-Hyup's Poetics

  • 91
113401.jpg

본고는 17세기 후반 문단의 거목이었던 農巖 金昌協(1651~1708, 효종2~숙종34)의 詩論에 나타난 反擬古主義 및 性情論ㆍ天機論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穆陵盛世로 일컬어지는 宣祖 代에 무르익은 學唐의 풍조는 17세기에 들어와 漢ㆍ魏ㆍ盛唐詩를 시의 典範으로 삼아 모방하는 擬古主義로 이어졌다. 전범이 되는 시를 정해놓은 뒤 그것을 모의해서 시를 짓는 의고적인 시풍은 시인의 개성을 나타내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그래서 前代의 詩文을 통해 法古를 하되, 시인 자신의 정신이 반영된 創新을 추구하라는 것이 농암이 주장하는 반의고의 시론이다. 性情과 天機에 대한 農巖의 인식을 살펴보면. 그의 성정론은 載道論ㆍ敎化論에서의 性情之正이 아니라. 시인의 情을 중시하는 性情之眞쪽이다. 그러나 이 때의 성정은 인간의 情에 대해 性惡邪正을 가리지 않는 무조건적인 경도가 아니라 性에 바탕한 情이다. 그리고 천기의 문제에 있어서 농암의 천기론은 꾸밈없는 순수성인 天眞性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는 천기를 '천진성에 바탕을 둔 시적 대상의 유동하는 생명력'으로 파악하고 있다.

This thesis is to examine an anti-imitation of ancient style(反擬古) a Seongjeong(性情) and a Cheonki(天機) which appeared in the Nongam Kim, Chang-Hyup(金昌協, 1651∼1708)'s poetics(時論). In the 17th century, the trend of learning Tang(學唐) became the imitation of ancient style(擬古) which imitated Han(漢), Wy(魏) and SeongTang(盛唐)'s poetry. The imitation of ancient style(擬古) in versification is difficult to show a poet's individuality. Therefore Nongam asserted the anti-imitation of ancient style(反擬古) which included a reviewing ancient style(法古) and a Changsin(創新). Nongam regarded the Seongjeong(性情) as the Seongjeong-ji-jin(性情之眞). The Seongjeong ji jin is taking a serious view of poet's emotion. And it is opposite a Seongjeong ji jeong(性情之正) which is referred in the theory of the vehicle for tao(載道論). But the Seongjeong ji jin is not blind pursuit in a poet's emotion. It is based on the Seong(性). In the theory of the Cheonki(天機論), Nongam considered the Cheonki(天機) as a flowing vigor which was based on an innocence.

요약

Ⅰ. 序論

Ⅱ. 法古創新의 反擬古的 詩學

Ⅲ. 性情之發과 天機之動의 詩學

Ⅳ.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