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바리데기」의 텍스트성 연구

The Study of the Textuality of the Baridegi

  • 173
113401.jpg

본고에서 필자는 서사무가 「바리데기」의 텍스트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줄거리나 내용 요약 위주의 일반적인 방법을 지양하고, 시퀀스를 담론에 의해 생산되는 코드로 분절하는 방식을 택했다. 텍스트를 코드로 읽는 것은 텍스트가 환기시킨 세계의 다양한 코드화에 주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작업은 문화적이고 집단적인 독자의 코드, 즉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가 의존하고 있는 코드들을 발견하는 것이 된다. 분석을 통해 「바리데기」에는 여러 가지 코드들이 수평적으로 때로는 수직적으로 교차하고 있음을 알았다. 종교적 코드의 범주에 속하는 유교ㆍ불교ㆍ무교적 코드는 수평적 관계를 취하고 있었다 한편 종래의 분석에서 주로 다루었던 줄거리 둥에 해당하는 해석학적 코드 혹은 행위적 코드는 그 자체로는 특이점을 발견하기 어려웠지만, 이를 매개로 「바리데기」의 다양한 해석이 가능했다. 즉 행위적 코드의 반복과 해석학적 코드에 드러나는 과업의 성격을 통해, 우리는 「바리데기」에서 가부장적 체제에의 편입 욕망(상징적 코드)과 가부장적 서사 진행에 대한 저항의 형식(신용 코드)을 읽어낼 수 있었다. 「바리데기」의 텍스트성을 탐구하는 것은 텍스트의 고정되고 본질적인 의미를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의 독해를 통해 그것이 환기시키는 세계의 상식-본고의 경우 가부장적 질서 및 가부장적 서사양식-을 의심해보는 작업이다.

This paper has been focused on identifying the textual feature of the Baridegi with an idea that the text and the social consensus are closely tied together. In order to identify the textuality of the Baridegi, the paper proceeded with six codes within S/Z by Barthes. The religious codes out of the cultural code were acrossed each other horizontally. In the meantime, repetitions of the proairetic code and the hermeneutic code were attributed to clarify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ymbolic code and the credit code. As a result the paper found out that six codes are crossed each other horizontally somtimes hierarchically in the Baridegi. In other words, the paper denaturalized discourses sorrounded to the Baridegi.

요약

Ⅰ. 서론

Ⅱ. 텍스트 분석

Ⅲ. 「바리데기」의 다양한 해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