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ㆍ중 嫦娥 전승 소설의 공간서사 및 그 의의

The space narrative and meaning of Korean-Chinese goddess Hanga(Cháng'é) related novel -focusing on Sukhyangjeon and Three Tricks on BaiMudan

  • 513
114481.jpg

한국의 <숙향전>은 중국배경소설로서 중국의 <三戱白牧丹>과 공통으로 <嫦娥奔月> 서사를 전승하고 있는데, 공간 서사의 측면에서 상호 유사성이 주목할 만하다. 두 편의 소설에서는 瑤池-거주지-몸이라는 서사 공간이 정체성-해액-갱생의 의미와 대응을 이루면서, 嫦娥가 천계에서 이성과 희롱한 죄업으로 속계에 태어나, 인계에서의 고행을 통해 속죄의례를 수행 하고, 자신의 몸을 정화하여 완성된 자아로 거듭나기 위해 진력함을 나타낸다. 두 편의 소설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瑤池라는 공간은 西王母가 관장하는 천계의 중심부로 신성과 질서 그리고 권위를 상징하는 장소인데, 숙향과 白牧丹은 이성과의 희롱으로 인해 천계의 질서를 위배하게 됨으로써 스스로의 신분에 오점을 남기게 된다. 이렇게 볼 때, 瑤池는 숙향과 白牧丹의 죄업을 드러내는 공간인 동시에 前身이 嫦娥임을 증명하여 정체성을 나타내는 공간이기도 하다. 인계는 숙향과 白牧丹이 정화의례를 치르는 장소이자 숙명적인 인물들과 연계되는 공간이다. 특히 이들이 머무는 거주지는 안착을 통해 행복과 위안을 얻을 수 있는 공간이지만 위기와 곤경에 처했을 때는 안착지를 떠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봉착한다. <숙향전>과 <三戱白牧丹>에서 볼 수 있는 또 다른 공간 서사의 특징으로 몸의 상징적 의미를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숙향과 白牧丹에게 있어서의 몸은 정결한 영혼과 합일을 이루어야 할 공간이자, 고난을 몸소 체험하여 정화의례를 완성해야 하는 聖殿이다. 이런 의미에서 몸은 결국 이들이 완성을 이루어야 할 공간이며 완성된 자체로서 영원을 보장받을 수 있는 갱생의 장소로 인식된다. 이렇게 볼 때, <숙향전>과 <三戱白牧丹>은 공간서사의 측면에서 嫦娥의 죄업과 도피가 단지 지상과 달 속의 廣寒殿이라는 공간에 대응되는 공간적 단순성을 극복하고 <嫦娥奔月>의 공간적 '여지'를 창의적 시각으로 재해석하여 서사 공간의 무한한 확대와 발전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두 편의 소설은 이렇듯 공간 서사의 측면에서 동일한 틀을 형성하고 있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 <숙향전>이 현실적 구복의식과 仙道적 의미의 결합을 지향하는데 비해 <三戱白牧丹>이 仙道적 이념을 강렬하게 표출한다는 점에서 지향의식에서의 차이점을 지닌다.

Korean Sukyangjeon is a novel with Chinese setting which commonly transmit the narrative of Hanga fly to the moon along with Chinese Three Tricks on BaiMudan. Here, a mutual similarity is noteworthy in the aspects of space narrative. These two novels explain that Hanga is doing her best to be born again as a perfected ego by purifying her body, while performing a ritual of atonement through the ordeal in this human world after being born with the sinful karma of taunting the opposite sex during her stay in heaven. Here, the narrative space of Yaochi-abode-body form a comparative structure with the meaning of identity-eliminating misfortune-rehabilitation. The space called Yoji (瑤池:fairyland of immortals), as the center of heavenly realm where XiWangmu is taking charge signifies holiness, order and authority and through violating the order of heavenly realm due to playing around with the opposite sex, they get to leave a blot on their own statuses. Seen from this fact, Yoji becomes the space where Sukhyang and BaiMudan testifies their karmas as well as their identities proving that Sukhyang and Baimudan was Hanga. The human world is also seen as the place where Sukhyang and BaiMudan are going through the ritual of purification, and where they are related to their fatalistic figures. Although, the love nest where they reside is the space where they can gain happiness and consolation through peaceful settlement, they get to face with the situation that they have to leave this comfort base when they are in crisis and danger. The other characteristics of space narrative shown in Sukhyangjeon and Three Tricks on BaiMudan is the symbolistic meaning of body. To Sukhyang and BaiMudan, the body is not the space where there should be a unity with purified spirit, but also a sacred pavilion where the ritual of purification should be completed through experiencing ordeals by themselves. In this meaning, the body is recognized as the space where they have to fulfill completion as well as the place where the eternity is guaranteed as a completeness itself. Seen from this, in Sukhyangjeon and Three Tricks on BaiMudan, Hanga's sin and escape shows the possibility of infinite enlargement and development of narrative space through creatively reinterpreting the spatial room of Hanga fly to the moon, while overcoming the spatial simplicity which corresponds to the space of 'kwanghanjeon'(廣寒殿) on the earth and in moon. Likewise, these two novels reveal differences in its consciousness of intention in that Sukhyangjeon and Three Tricks on BaiMudan strongly expresses Taoistic idea, while Sukhyangjeon intends for a combination of realistic consciousness seeking fortune as well as the meaning of Taoism.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瑤池: 정체성

3. 거주지: 해액

4. 몸: 갱생

5. 나오면서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