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개화기 호남 유림의 여성 인식

The recognition of women of the Confucian scholar who lived in honam -focused on Ki Woo man(奇宇萬)

  • 608
114481.jpg

본 논문은 개화기에 생존했던 기우만의 여성 인식을 살피는 데에 목적이 있다. 기우만(1846-1916)은 한말 및 개화기에 호남을 대표하는 유림이다. 1846년 장성 탁곡(卓谷)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노사 기정진, 아버지는 기만연(奇晩衍), 어머니는 이기성(李耆成) 딸이다. 기정진 죽은 후 호남 유림들의 종장(宗長)으로 추대되었고 호남 의병활동의 중심 인물이었다. 개화와 조선 멸망이라는 격변기를 살았던 기우만은 기정진의 위정척사 정신을 그대로 수용했다. 명성황후 시해 소식을 듣고 사람들에게 규탄하기를 격려했고 51세의 나이로 장성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아관파천 사건이 일어나자 외세에 의탁하는 일이 위험하다고 경고했고 을사늑약 체결 소식을 듣고 을사오적의 처단을 요구하는 상소를 올렸다. 이 때 을사오적 암살 시도 사건과 관련되었다는 의심을 받아 광주, 서울의 감옥에 갇히기도 했다. 1910년 한일합방 소식을 듣고는 나라가 망한 신하로 자처하면서 칩거했다. 문화적으로는 소중화 의식을 토대로 당시 개화파의 의식과 개혁에 철저하게 반대하였다. 기우만은 여성이 하종하는 열행을 강조하지 않았다. 대신 죽은 남편의 마음을 자신의 마음으로 삼는 이른 바 '심종(心從)'하는 열행을 강조했다. 그리하여 남편의 마음처럼 남편 집안을 흥성시키는 여성을 부각했다. 또 이를 위해 아들 교육에 적극적으로 헌신하는 여성의 모습을 강조하였다. 한편으로는 여성의 구활행위에 주목하여 향당에서의 여성 역할을 부각하기도 했다. 이러한 기우만의 여성인식은 당시 개화 사상의 영향으로 위협받던 가부장적 가족 체제를 지키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었다. 그리하여 여성의 위상을 가문적 차원으로 확대하기도 했지만 그만큼 여성의 책무를 더 무겁게 하기도 하였다. 한편 기우만은 여성의 열행 정신을 충 윤리와 연계하면서 당시 위정자들의 비겁함과 배신 행위를 질타하기도 하였다.

Ki Woo-man(奇宇萬) was Confucian scholar who had lived in Jang sung and in early modern period. He was grandson of Ki Jung-jin(奇正鎭) who was the great Neo-Confucianist philosopher. He cherished the thought of his grandfather -the thought of Wijung Chuksa(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衛正斥邪). He raised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in 1896 in Jang-sung. He sent up a memorial to the Throne which demanded to punish five persons who played a leading role fo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Ulsaneukyak:乙巳勒約) in 1910. Ki Woo-man took a serious view of Yeolhaeng(烈行). He emphasized on that women who her husband died had to survive, serve her parents-in-law faithfully and bring up her son. It was that her mind was with the husband's mind(心從). This assertion based on the Way of Three Obediences(三從之道). They were the womem who perpetuating the family of her husband and continuing a ceremony for the repose of her husband's ancestors. So he acclaimed for women who brought honor to her husband's family. And Ki Woo-man emphasized on that woman dedicated to educate her son. So he had praise the mathers who moved to ideal educational environments, set up room where her son studied with his teachers and friends, work hard to make tuition fees. On the other hand, Ki Woo-man interested in women who gave relief to the people. He highlighted womne who extended a helping hand to relative and neighbors who was poor or starved during the drought. Ki Woo-man intended to consolidate the patriarchal social order becouse he thought the patriarchal social order has been shaken It increased the burden laid on the woman in early modern period. Ki Woo-man, besides, Yeol(烈) connected with royalty. So he cried out against the immoral and corrupt politicians and demanded that they should imitate Hyo Yol Bu Jon(孝烈婦)'s virtues.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기우만의 생애 및 활동

3. 여성에 대한 기우만의 인식

4.기우만의 여성 인식이 지니는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