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4808.jpg
학술저널

탐라와 몽골의 음식문화 유사, 상이점

Similarity & Differences of Tamra & Mongolia's Food Culture in 13 Century

  • 918

이 글은 13세기 대원제국의 지배문화가 탐라의 음식문화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고, 탐라(제주) 식문화가 주체적으로 변용시키면서 생존을 유지시켜 온 변동 과정과 양 지역의 음식문화의 유사, 상이점을 비교하여 음식문화의 동질화와 이질화, 혼성화 측면과 3가지 측면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탐라는 몽골의 직접 지배기간이 가장 길었으며, 그들이 직접 관료를 파견하여 지배하므로서 타 지역에 비하여 몽골문화가 가시적으로 많이 남아 있는 지역이다. 주요 연구문제는 어떻게 해서 몽골음식인 게데스가 수애가 되었으며, 슐렝(šűlen)이 몸국으로, 마유주가 '쉰타락크'로, 아라크(아랑주)가 고소리술이 되었는지 등을 분석한다. 연구의 방법은 13세기 고려에 대한 몽골지배의 선행연구 분석 및 문헌연구와 필자의 음식문화 선행연구 결합을 통한 양 지역 음식문화를 비교하였으며, 분석의 범위는 대상지역의 음식문화 변동비교에 두었다. 왕족 등 지도부와 원나라 관료 등의 숙식 등에 대한 관련 자료를 토대로 음식문화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그들의 문화와 음식문화는 '몽골비사'에, 기타 관리와 이주자들이 지배지에 전래 시켰던 사례와 현재습속도 유사함을 밝혔다. 연구 결과 주요 유사점은 음식 삶기, 찌기, 탕(슐렝), 순대(게데스), 고기국수, 소주(아르히) 등에서 확인되며, 상이점은 재료와 자연환경 등에서 나타나고, 음식문화의 동질화, 이질화, 혼성화를 분석하고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article consists of five sections. The first section clarifies research questions, the purpose of study and methodology about similarity & differences of Tamra & Mongolia's food culture in 13 century. The second section deals with methods of study, literature review,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similarity & differences of Tamra & Mongolia's food culture in 13 century. The analytical variables of the study were Pax Mongolia, culture acculturation, cultural adaptation, so forth. The third section presents analysis variables about similarity & differences of Tamra & Mongolia's food culture in 13 century. The forth section suggests research effect &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last section concluded and proposed some suggestion & expectation effect, so forth. The results and these findings give us suggestions that it was useful to investigate similarity & differences of Tamra & Mongolia's food culture in 13 century.

국문요약

Ⅰ. 서론

Ⅱ. 탐라의 음식문화 변동의 의의

Ⅲ. 대원제국 음식문화 특성과 탐라 전래

Ⅳ. 양국의 음식문화의 유사, 상이점 비교

Ⅴ. 결론

인용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