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실용영어 수업에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시행해 보고 그 과정 및 결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학 실용영어 수업시간에 영어말하기 발표에 대한 학습자들의 동료평가 결과와 교수자 평가 결과 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습자들의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도록 하였다. '실용영어' 수업을 수강하는 22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는 이루어졌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의 동료평가와 교수자 평가 결과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자기평가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동료평가 점수를 최종 학점에 반영하는 것에는 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것 이외에도 앞으로 자기 평가 및 동료평가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기대된다.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peer-assessment and those of teacher evaluation is investigated, and students' responses on peer- and self-assessment are also examined. For this purpose, 22 students in 'Practical English' clas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peer-assessment and those of teacher evaluation are correlated. Next,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on peer-assessment and self-assessment, but they were not willing to include their peer-assessment scores into the final grading. It i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constant studies on peer-assessment and self-assessment.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와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인용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