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간의 경로 분석
A path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o the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 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18권 제4호
- : KCI등재
- 2014.12
- 545 - 567 (23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에 대한 가설적인 모형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근무시간, 직장내 사회적지지, 근무환경, 보육효능감, 소진 등 다섯 가지 변인을 도출하고, 변인들간의 가설적인 경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가설 모형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K시의 보육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AMOS를 활용하여 경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적 모형에서 설정했던 경로상의 변인들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적합도 검사 결과 가설적 모형이 최종 연구모형으로 채택되었다. 셋째, 근무환경, 보육효능감, 소진 그리고 직무만족도에 이르는 경로에는 각각 유의미한 효과와 설명량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근무환경과 보육효능감은 각각 사회적지지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은 근무시간과 보육효능감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사회적지지로부터는 보육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직무만족도는 근무시간으로부터 간접적인 영향만 있었던 반면 근무환경과 소진으로부터는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고, 보육효능감으로부터는 직접적인 영향과 함께 소진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도 있었다. 사회적지지는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줌과 동시에, 근무환경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보육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 보육효능감과 소진을 차례로 매개로 한 간접효과 등 세 가지 간접경로를 통해서도 직무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각 경로에 대한 보다 구체적 인 결과와 논의점 그리고 보육교사 지원 정책에 주는 시사점과 연구 제언을 추가로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related to the childcare teachers’job satisfaction. Through the precedent literature review, five variables such as working hours, social support within the childcare center, work environment, childcare efficacy and burn-out were selected as variables that affect to the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a hypothetic path model among the variables was selected. Details of the hypothetic path model were as follows; Firstly, work environment, childcare efficacy and burn-out would directly affect to the job satisfaction. Secondly, working hours would indirectly affect to the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burn-out. Thirdly, social support would directly affect to the job satisfaction as well as indirectly affect with the different three indirect paths mediated by childcare efficacy, work environment, childcare efficacy and burn-out in order. 133 samples of the childcare teachers’ data were analyzed using Amos version 22 and the main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all variable except the working hours was correlated with the job satisfaction and each pair-variable of the path which was set in the hypothetic model was also correlated each other. Secondly, the hypothetic path model was adopted as a final research path model satisfactorily fulfilling the all fitness indices. Thirdly and the last,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and related power value on each path toward work environment, childcare efficacy, burn-out and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study presented a number of discussions of these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on the related supporting policies and program development for the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