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5213.jpg
KCI등재 학술저널

자폐증개념의역사를통해살펴본DSM-5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진단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Diagnosis of Autism Spectrum Disorder through the History of Autism: Focus on PDD-NOS

  • 1,136

자폐증은 정신분열증을 묘사하기 위해 1911년 Bleuler에 의해 최초로 명명된 이후, 1943년 Kanner에 의해 아동기 자폐증을 나타내는 용어로 일반화되었다. 현재까지 자폐증의 개념은 아동기 정신증과 관련되어 프랑스의 정신의학계에서 논의되고 있으며, 이러한 양상은 정신장애 진단 및 통계편람 제5판(DSM-5), 국제 질병 분류 제10판(ICD-10), 프랑스의 아동기 및 청소년기 정신장애 진단편람 개정판(CFTMEA R-2012)에서 나타나는 이질적인 요소들을 통해 가시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의 DSM-5와 프랑스의 CFTMEA R-2012에서 나타난 자폐관련 장애의 진단에 대한 상이한 방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DSM-5에서 기존의 전반적 발달장애의 진단을 자폐 스펙트럼 장애가 대체한 것과 관련하여, PDD-NOS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에 포함되는 것이 가지는 함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의 진단편람에 이르기까지 논쟁의 한가운데에 자리했던 자폐증 개념의 역사를 살펴보고, 자폐증 개념의 변천과정과 연관하여 PDD-NOS의 위치에 대해 논의하고, 이에 대해 제언하였다.

After named by Bleuler in 1911 for describing schizophrenia, autism has been known as infantile autism in 1943, by Kanner. The concept of autism related with psychosis has been discussed in the domain of diagnosis, and this is shown by the differences of the diagnosis in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Fifth Edition(DSM), ICD(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CFTMEA (Classification française des troubles mentaux de l'enfant et de l'adolescent). Theref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t directions of DSM-5 and CFTMEA R-2012 on the diagnosis of the autistic disorders. The focusing study was on the position of the PDD-NOS(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which was including in ASD(autism spectrum disorder) in DSM-5.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tudied on the history of the concept of autism, and we discussed of the position of the PDD with its relation to history of autism.

국문초록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자폐증 개념의 역사

Ⅲ.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