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5211.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수출기업의 검색엔진마케팅 효율화를 위한 검색엔진 최적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lternatives of Search Engine Optimization for Search Engine Marketing Efficiency in Korean Exporting Companies

  • 248

연구목적: 검색엔진마케팅은 검색자가 쉽게 웹사이트를 발견할 수 있도록 검색결과를 상위에 위치하도록 유지하는 온라인 마케팅 전략이다. 이러한 검색엔진최적화에 대한 요구가 수출기업에 있어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검색엔진마케팅 전략에 대한 문헌연구는 소수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수출기업의 SEO 수준을 분석함으로써 검색엔진마케팅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설계/자료/방법론: SEO의 서비스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9가지의 SEO 수준 지표(페이지타이틀, 페이지설명, 키워드, H1태그, 이미지설명 및 alt태그, HTML, 검색시간, 본문텍스트, 링크)를 도출하였고 SEO simulator 프로그램인 Spider simulato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경상북도의 40개 수출기업 영문홈페이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한국 수출기업 및 Google 상위 노출기업의 SEO 수준은 설정지표에 각각 약 60%수준 및 87%수준을 기록하고 있어 HTML 크기 지표 지표를 제외하고 한국수출기업은 모든 SEO지표에서 열위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영문홈페이지의 활용, 페이지 설명, 키워드, H1태그 등은 검색결과 상위에 노출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한국 수출기업 홈페이지는 사용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이미지 사용과 관련한 alt태그의 사용, 내외부의 링크 등이 선진홈페이지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독창성/가치: 기존의 논문들은 검색엔진최적화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 및 검색엔진최적화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주로 다루고 있다. 반면, 본 논문은 실증적으로 검색엔진 최적화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색엔진 상위노출기업과의 비교를 통한 한국수출기업의 검색엔진최적화 수준을 분석하고 활성화대안을 제시하는데 독창성 및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그 문제점과 해결방안들이 실무적용 가능한 내용으로 분석되고 검색엔진최적화 활성화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논문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Purpose: Search engine marketing (SEM) is an aspect of online marketing strategy that involves increasing and maintaining a web site’s rank on search engine results pages(SERPs) in order to be easily found by searchers. Despite an increase in demanding for exporting companies with expertise in search engine optimization (SEO), methods for SEM marketing strategy has received little coverage in the literature. Therefore, this paper try to analysis the level of SEO in Korean exporting companies to suggest the alternatives on SEM efficiency. Design/Data/Methodology : To analyze of the service level of SEO, the service level Indicators (page title, page Description, keywords, Image description, H1 tags, HTML size, retrieval time, body text, links) are developed, and it has been tested using spider simulator for the SEO simulator program. The 40 English websites located in Gyeongsangbuk-do Province export enterprises are tested. Findi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level of SEO in Korean exporting companies and top exposed to SERPs (Search Engine Result Pages)in Google accounted for 60% and 87% each. Especially, all of level indicators of Korea Export Companies are inferior except HTML size. Despite of essential factors to vitalize SEO, English website, page Description, keywords, H1 tags are not appropriately used. In addition, the use of Image description for alt tag, internal-external linkage also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well-structured advanced website. Originality/Value: The previous papers dealt with the general discussion on the introduction of search engine optimization (SEO) and the factors to effect on the activation of SEO. However, this paper tries to suggest the actual SEO level of Korean exporting companies and the alternatives for activation of SEO by comparing top exposed to SERPs companies. And the values of this paper are highly estimated in that the problems and its solutions can be applied in practice and the alternative is furnished in vitalizing SEO in Korea Exporting Companies

Abstract

Ⅰ. 서론

Ⅱ. 검색엔진마케팅 및 검색엔진최적화 문헌연구

Ⅲ. 검색엔진마케팅의 현황분석 및 서비스체계

Ⅳ. 한국 수출기업의 검색엔진최적화 수준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References]

국문초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