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6379.jpg
KCI등재 학술저널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

Sense of Justice in Modern Society: Concerning John Rawls

  • 648

이 글에서는 현대 사회에서 정의감의 문제를 롤즈의 『정의론』을 중심으로 감정 이론과 도덕 심리학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롤즈는 『정의론』에서 정의감의 발달 과정을 도덕 발달 과정을통해, 특히 죄책감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한다. 롤즈는 자연적 감정으로서 사랑과 정의감을 연결시키는데 이러한 연결을 죄책감에 관한 논의가 뒷받침한다. 데이는 감정 이론의 관점에서 이러한 롤즈의 정의감에 관한 논의를 비판한다. 데이에 따르면 롤즈의 죄책감 논의는 그 정의에 있어서 불확실할뿐더러 자연적 감정과 도덕 감정 간의 구별을 어렵게 한다. 그러나 자연적 감정인 회한과 도덕 감정인 죄책감의 구별에 관한 데이의 논의 또한 분명한 것은 아니다. 한편 자기-평가적 감정으로서 죄책감을 파악하는 테일러에 따르면 롤즈에게서 죄책감은 자기-평가적이라기보다는 지나치게 사회화된 감정으로 이해되고 있다. 감정 이론의 관점에서 제기되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이 글은 낙관론의 입장에서 가능한 반론을 구성해보고자 했다. 이 글이 옹호하고자 하는 롤즈의 낙관론은 다음 두 가지를 그 내용으로 한다. 즉 첫째 자연적 감정인 사랑과 도덕 감정인 정의감이 연관되고 함께 발달한다. 둘째 도덕 규범의 정당화 문제는 한 공동체 구성원들이 상호 인정하고 존중하는 원칙의 문제로 간주된다. 이 글은 이러한 낙관론의 관점에서 투겐타트의 논의가 롤즈 이후에 정의감을 이해하는 유의미한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보이고자 했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sense of justice in modern society concerning Rawls' A Theory of Justice in view of a philosophical study of emotion and moral psychology. Rawls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sense of justice focusing on guilty in A Theory of Justice. He relates love as natural sentiment to sense of justice, and this relationship is warranted through guilt. But Deigh criticizes it in view of the theory of emotion. According to Deigh, Rawls' argument about guilt is not only obscure in definition, but also blurs a distinction between natural sentiment and moral sentiment. But Deigh's argument about a difference between remorse as natural sentiment and guilt as moral sentiment is not clear. Beside, according to Taylor who interprets guilt as emotion of self-assessment, Rawls understands guilt as oversocialized emotion. This article aims at a reconstruction of optimism in order to raise the objection to the criticism. Rawls' optimism, which this article defends, includes two points. First, love as natural sentiment and sense of justice as moral sentiment are related and develop together. Second, justification of moral is considered as the problem of the principle that members of a society recognize and respect mutually. This article aims at asserting that Tugendhat suggest a meaningful way of understanding of sense of justice after Rawls in view of optimism.

초록

1. 들어가는 말

2. 롤즈의 정의감 - 도덕 발달 과정의 단계와 그 법칙

3. 정의감과 죄책감 - 존 데이와 테일러의 반론

4. 낙관론의 옹호 - 투겐타트의 도덕 정당화 논의를 통한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