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수행공학 관점에서 유통업체 상품기획자의 역량향상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oduct Merchandisers’ Competencies in Retail Industries from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Perspective

  • 592

본 연구의 목적은 상품기획자의 역량향상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수행공학관점에서 수행문제 를 분석한 후 문제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 제시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있었다. 수행공학(Human Performance Technology: HPT)접근은 개인과 조직 의 전체적 관점에서 수행 및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하는 방법으로, 본 연 구의 목표가 조직적 수준 및 개인적 수준에서의 유통업체 상품기획자 역량향상방안 탐색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유용한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5년 이상의 직무경력을 지닌 숙련된 상품기획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유통업계 전반의 상품기획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를 실시하여 수행문제 및 문제에 대한 원인을 분석한 뒤, 전문가집단에게 2차례에 걸친 FGI 를 실시하여 해결책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조직적 수준에서는 상품기획자의 인력충원, 비재 무적 성과에 대한 보상체계 마련등이 해결책으로 도출되었으며, 개인적 수준에서는 직무교육 의 개선, MD카테고리별 역량모델링 구축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in depth in terms of retailers for the product planners Merchandiser (MD) that was concentrated in research-oriented fashion industry. In particular, we studied the competency improvement of the product planners in HPT’s perspective as performance analysis, cause analysis, solution selection and presentation step. HPT is a way to perform and analyze the cause of the overall perspective of the organization and individual to propose solutions. Consequently, this theory may be considered appropriate for the study of competency improvement of the retailer’s product planners. After in-depth interviews with product planners intended for experienced facilitator with a job for more than 5 years, performing cause analysis and product planners through a survey conducted for the overall retail industry; the solution was then selected and presented through the FGI with experts over twice. At an organizational level, it is necessary to compensate for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the product planners and to personnel recruiting. At an individual level, it is necessary to improve job training and build competency modeling of MD categorie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