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engthening Women's Role in Development: From Capability Perspectives towards Policy Design
Strengthening Women's Role in Development: From Capability Perspectives towards Policy Design
- 연세대학교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 지역발전연구
- 지역발전연구 제23권 제2호
- : KCI등재
- 2014.12
- 35 - 65 (31 pages)
본 논문은 센의 능력이론(capability perspective)에 기초한 양성평등(gender equality)의 개념화와 측정도구가 World Bank 또는 UNDP에서 제시하는 주류적인 양성평등의 개념화보다 얼마나 빈곤의 문제를 잘 설명해줄 수 있는가를 평가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지배적인 양성평등의 개념은 여전히 여성의 평등을 화폐가치 또는 외부적인 차원에 초점을 두고 개념화 하고 있는 반면에 센의 능력이론의 관점은 여성의 자유, 권리와 같은 보다 본질적인 가치에 초점을 두고 개념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센의 능력이론의 개념화에 따라 여성평등의 지표를 개발하여 75개 빈곤국가들의 다양한 빈곤 및 개발지표들과의 관계를 검증해 보았다. 검증결과는 능력개념에 기초한 여성평등지표가 빈곤율(poverty head count ration), 아동 건강, 다차원적 빈곤지표 등을 더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것으로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빈곤정책설계에 여성평등 정책을 어떻게 설계할 수 있는 것인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ssesses the extent to which the conceptualization of gender inequality based on the capability perspective describes equality and development better than the conventional conceptualization. Unlike, the conventional gender inequality indices, which fundamentally concentrate on single dimensions or factors that are extrinsic to women, the capability approach bases its ground on the inclusion of various dimensions to capture the nature of inequality and development. Using a revised gender capability index and random effects panel regression, this study examines how gender inequality conceptualized from capability perspective across 75 countries relates with the various dimension of development, and tests its validity to conceptualize development as alternative indicator.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gender inequality can adequately affect poverty head count ratio, child health and multi-dimensional poverty.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e validity of the revised index and the importance of conceptualizing equality from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to better policy design.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WOMEN ROLE IN DEVELOPMENT
Ⅲ. STATISTICAL ANALYSIS AND DISCUSSION
Ⅳ.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