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0887.jpg
KCI등재 학술저널

강원지역 유적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

An Archaeomagnetic Study of Archaeological Sites in Gangwon Region

  • 172

강원지역의 고고유적에서 조사된 다양한 소토유구의 고고지자기 측정을 통해 서력기원전시기의 데이터 27점, 서력기원후시기의 데이터 99점인 총 126점의 고고지자기 측정데이터를 정리하였다. 이 고고지자기 데이터를 통해 강원지역 유적의 고고지자기 연대를 추정해 보고 고고학적 편년과 비교해 보았다. 또한 강원지역의 지자기 변동양상을 알아보고 국내에서의 지자기의 지역차에 대해서도 검토해 보았다. 강원지역 서력기원후시기의 고고지자기 데이터에 대해 살펴보면, 다른 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없는 원삼국시대의 데이터가 많은 반면 삼국시대의 데이터가 적은 것이 특징이다. 고고지자기 변동양상은 일본의 고고지자기 변동곡선과 비교할 때 원삼국시대 데이터의 일부가 편각이 동쪽으로 많이 치우치고,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데이터에서 편각이 다소 서쪽으로 치우치고 복각이 깊어지는 지자기의 지역차를 보인다. 그렇지만 변동양상의 전체적인 모습은 일본의 지자기 변동과 비슷하다. 이것은 이미 소개된 우리나라 고고지자기 표준곡선의 개형에서 보이는 특징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리고 강원지역 서력기원전시기의 고고지자기 데이터에서는 청동기시대의 데이터와 함께 초기철기시대의 고고지자기 데이터를 구할 수 있었던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데이터들을 통해 강원지역의 청동기시대에서 초기철기시대의 고고지자기 변동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우리나라의 서력기원전시기의 고고지자기 변동모습을 더욱 폭 넓게 알 수 있게 되었다.

The current study performed archaeomagnetic measurement on a variety of baked earth relics investigated from archaeological remains in Gangwon and arranged archaeomagnetic measurement data for total 126 relics, 27 from the period B.C. and 99 from the period A.D. With these archaeomagnetic data, the researcher estimated the archaeomagnetic chronology of archaeological remains in Gangwon and compared it with the archaeological chronology.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geomagnetic field variations in Gangwon and the regional difference of the geomagnetic field in Korea. Investigating archaeomagnetic data about the period A.D. in Gangwon,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re are more data for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hich are not easily discovered in other regions but fewer data for the era of the Three States. And about the aspects of archaeomagnetic variations, when they are compared with archaeomagnetic variation curves in Japan, in some of the data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 declination leans very much to the east, and about the data of the eras of the Three States and Goryeo, the declination rather leans to the west, and the dip tends to be deeper, thus; there exists regional difference in the geomagnetic field. However, the overall aspects of the variations are similar to the geomagnetic field variations'in Japan. This is not very differen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archaeomagnetic standard curve shape that has been already introduced. And what is even more important is that from the archaeomagnetic data of the period B.C. in Gangwon, it was possible to acquire archaeomagnetic data about the early Iron Age as well as the Bronze Age. With these data, it was possible to figure out the aspects of archaeomagnetic variations in Gangwon from the Bronze Age till the early Iron Age more concretely. Furthermore, it was also possible to have a broader view to the aspects of archaeomagnetic variations in Korea during the period B.C..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시료와 측정

Ⅳ. 강원지역 유적에 대한 고고지자기학적 연구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