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1738.jpg
KCI등재 학술저널

여말선초 箕子 중심의 역사계승의식과 조선적 문명론

Gija-Centered View of Historical Succession and the Discourse on Civilization of Joseon

  • 1,337

이 글은 여말선초 이색과 정도전, 권근 등 3명의 인물의 역사계승의식과 문명론의 변화, 분기를 통하여 성리학이 내면화 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려말의 이색과 정도전은 성리학자로서 箕子를 중심으로 하는 역사계승의식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이색은 단군을 國祖로 인정한 반면, 정도전은 조선건국의 당위성을 주장하면서 단군조선의 의미를 크게 축소하였다. 이는 문명론에서 고려왕조는 물론 전통문화를 時勢로 보고 인정하려는 이색과, 전통은 물론 고려왕조까지 부정하고 새로운 왕조건설로 전면적인 유교화를 추구하는 정도전의 차이를 만들었다. 이색은 점진적 문명론을 정도전은 도학적 문명론을 추구했다고 정리할 수 있으며, 이는 지향점은 같으나, 방법론에서 나타난 차이였다. 고려말의 문명론의 분화는 조선초기 권근의 단계에 와서 융합되는 양상을 보였다. 권근은 역사이론에서 성리학의 원론적인 측면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정도전의 학문과 연결되지만, 멸망한 남송 출신의 유학자로 정치에 참여하지 않고 은거하였던 吳澄을 비판하는 모습에서 權道와 時勢論을 추구한 이색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왕조의 교체에도 불구하고 현실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면 유교적 가치의 실현이 가능하다는 권근의 낙관적 전망을 담고 있다. 더욱이 권근은 기자 중심의 역사계승의식을 추구하는 가운데서도 이색에 비하여 단군을 강화하였으며, 중국과 조선을 구분하고 小中華로서의 위치를 분명하게 견지하고자 하였다. 그는 보편문화를 지향해야 한다는 당위성이 있으나, 조선은 중국과 문화적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고유한 문화적 전통도 유지해야 한다는 조선적 문명론을 지향해나갔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Neo-Confucianism was internalized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focusing on the change and differentiation in the discourse on history and civilization of the three scholar-officials, Lee Saek, Jeong Dojeon, and Kwon Geun. There was little disagreement between Lee Saek and Jeong Dojeon, both Neo-Confucianists, in defining Goryeo as the historical successor of Gija who symbolized the introduction of Chinese civilization into Korea. However, whereas Lee admitted Dangun as the father of nation, Jeong reduced the importance of Dangun's Joseon advocating the legitimacy of founding a new state, Joseon. This led to a divergence in the discourse on civilization. From the situational perspective, Lee embraced not just Goryeo Dynasty but also traditional culture; Jeong, on the other hand, discredited tradition and even the present dynasty and sought out a complete Confucianization by the means of constructing a new dynasty. In sum, in terms of civilization discourse, Lee was a gradualist, Jeong a radicalist. They had the same goal, but different methods. The differentiation in the discourse of civilization in the late Goryeo later merged in the thoughts of Kwon Geun in the early Joseon period. Like Jeong Dojeon, on the one hand, Kwon aimed to emphasize the principles of Neo-Confucianism in his analysis of history. On the other hand, however, he followed Lee Saek's situational approach to Tao in that he criticized Wu Cheng, the Chinese Confucian scholar from the lost dynasty, South Song, who had not participated in politics and secluded himself during the non-Han dynasty, the Yuan. It showed Kwon's positive perspective that despite the change of dynasty Confucian values could be achieved by active participation in politics. Moreover, while supporting the idea of historical succession that put Gija at the center, Kwon reinforced Dangun more than Lee had done. Although Kwon took the pursue of Confucian universalism for granted, he also aspired to the preservation of unique cultural tradition because he saw that China and Joseon had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hich constituted his vision of Joseon's civilization. At the same time, he tried to concretely affirm latter's place as "Little China" in the Sino-centric world.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고려말 역사계승의식과 문명론의 분화

Ⅲ. 조선 초기 역사계승의식과 조션적 문명론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