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데이터를 활용한 국내대학 인식 및 선호도 분석
An Awareness Identification and Preference Analysis for Domestic University Using SNS Data
- 한국빅데이터서비스학회
- 한국빅데이터서비스학회 논문지
- 한국빅데이터서비스학회 논문지 1권 1호
-
2014.121 - 13 (12 pages)
- 687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스마트폰이 의사소통의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이와 함께 데이터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이를 빅데이터 기법을 이용하여 수집하고 분석하여 사회 각 분야에 다양한 용도로 이용 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트위터에서 수집한 SNS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국내대학에 대한 평판을 분석하였다. 관련 데이터는 대학 이름과 동의어 그리고 대학과 연관된 키워드를 사용하여 6개월에 걸쳐 수집한 것들이다. 수집된 데이터를 하둡 기반의 하이브에 탑재하여 다차원분석을 실행하고 난 다음 RHive를 이용하여 통계분석과 시각화를 하였다. 그 결과 국내대학에 관한 인지도와 감성분석을 평가할 수 있었다.
Recently the number of smartphone users is rapidly increasing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prevalence of smartphones. Accordingly, smartphones have become necessities for maintaining social relationships. In addition, data traffic has been exponentially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 utilization of smartphones. Smartphones became the primary means of communicating with others,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based on the smartphones is also rapidly developing. In this study, SNS Big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Twitter and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issues and preferences of the domestic universities. The data has been collected over 6 weeks using university name, its synonyms, and university-related keywords. We performed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after loading them into the Hadoop-based data warehousing packages Hive. We then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and visualization using RHive. As a result, we were able to evaluate the awareness and the sentiments of domestic universities from the Tweet data.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설계
4. 실험 및 실험결과
5. 결 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