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체화 증상을 호소하는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lementary Students’ Self-Esteem and Mental-Health Expressing the Somatic Symptoms to Psychogenic Factors”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4권 2호
- : KCI등재
- 2015.06
- 175 - 199 (24 pages)
본 연구는 심인성(心因性)요인으로 신체화 증상을 호소하는 초등학교 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에 대해 조사한 연구이다. 심리정서적인 문제가 있는 학생은 신체적으로 증상을 호소하며 보건실을 자주 방문하는데 이들 아동들의 신체증상의 해소뿐만 아니라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즐거운 학 교생활이 되도록 하며, 건강한 성장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충남 A시 초등학교 중에서 임의 선정한 3개 초등학교 4, 5, 6학년을 대상으로 2014년 4월 1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3개월 동안 심인성 (心因性)요인으로 신체화 증상을 호소하며 최소 10회 이상 보건실에 방문하는 학 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보건일지의 실태분석 및 상담을 병행하였다. 남ㆍ여 각 21명의 실험군 42명과 남ㆍ여 각 21명의 대조군 42명, 총 8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에서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 반응 간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 발달과 학교생활적응에 중요한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통하여 정신건강 예방 면에 기여할 수 있도록 다각적이고 사회적인 지지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In this study is on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somatic symptoms manifest as psychogenic factors. This tries to relieve the somatic symptoms of these students and assist with contribute to the healthy development growth to be good in school. Methods: For this study, subjects are from a random selection of three elementary schools, grades 4,5,6 located in the city of Asan, Chungnam province. Study was started from April 1, 2014 to June 30, 2014. Students who utilizing more than 10 times the minimum at school health clinics and complained of physical symptoms were due to psychogenic factors. It was in conjunction with daily health record analysis and counseling. The study consisted of a experimental group of 42 students 21 male, 21 female. The control group of the same size. totalling eighty four students in all. Result: There was a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cial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in experimental group. A multifaceted social support is needed to help students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problems based on the improvement of social self-esteem.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