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1792.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예측도구 타당화

“Validation of Academic Dropout Prediction Tool Used on Local University Freshmen”

  • 498

이 연구는 지방대학 신입생들에게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학업중단 예측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업중단 영향요인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심층 분석하여 다양한 변인들과 하위문항을 구성하였고, 도구의 타당화를 체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과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구성된 학업중단 예측도구를 지방대학 신입생 62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지방대학 신입생 들의 학업중단 예측도구는 가정환경ㆍ경제수준(4문항), 학업적 자기효능감(3문항),전공의 적성 및 진로 부합도(5문항), 교수와의 상호작용(3문항), 전공의 취업전망 도(3문항), 대학생활 적응도(5문항), 대학만족도(3문항)로 총 7개 요인, 26개 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다. 최종 척도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내적합치도를 산출하였고, 측정모델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전반적인 분석결과는 본 학업중단 예측도구가 지방대학 신입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을 측정하는데 비교적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ausing factors of academic dropouts, construct various factors and sub-questions for a customized tool for the local university students, then lastly, systamatically verify the tool’s validity. The academic dropout prediction tool which was constructed by looking into previous studies and going through expert’s content validity test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627 local university freshmen. The summary of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me out as follow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26 questions composed of 7 factors: home environment/economic standard(4 items), academic self-efficacy(3 items), major fitness/career relation(5 item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3 items), their current major’s possibility of employment(3 items),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5 items), university satisfaction (3 items). For the varification of the final criterion, the internal consistancy was calculated, an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nstruct validity was confirmed. The overall analysis confirmed that the prediction tool was congruent and valid when measuring the factors that causes local university freshmens’ dropping out of their academic studies.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