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한국어 중급 교재의 내용 구성과 문법 항목의 문제점 분석

Analysis of grammar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Textbooks

  • 1,862
121833.jpg

본고의 연구 목적은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발행한 중급 한국어 교재를 살펴보고 어떠한 문법 항목으로 교재를 구성하고 있는지 각 교재의 문법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에 있다. 한국어 교육기관의 교재 4종을 채택하여 각 교재의 전체 내용 구성을 비교 분석하였고, 각 과의 학습 주제와 기능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학습 주제와 기능에 맞는 문법 항목이 어떻게 배열되어져 있는지, 각 교재들과의 문법 항목의 중복도의 차이가 얼마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각 교재의 주제나 기능에 있어서는 공통된 부분이 있었으나 문법 항목에 있어서는 중복도가 매우 낮은 편이었다. 초급 교재의 문법 항목은 각 교재 간 중복도의 일치도가 높은 편이지만 중ㆍ고급 단계로 올라갈수록 공통된 문법 항목의 일치도가 낮아진다는 기존의 연구들을 다시 한 번 더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법 항목의 위계화나 표준 교육과정의 제시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바이다. 교재는 교육의 질과 학습의 질을 좌우하기 때문에 교실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므로 각 교재의 이질화현상을 다양성으로 보기 이전에 반드시 가르쳐야 할 필수 항목과 선택 항목의 제시로 교재 집필진들에게는 방향을 제시하고 학습자들에게는 학습에 있어서 혼란을 야기하지 않는 내용으로 교재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termediat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at was issued by the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Korean Intermediate textbooks of grammar items and topic, I was comparing function for each teaching textbooks. The reason for this is to recommendations about it from watching the current state of the current grammar education. Learning topic and grammar items that fit the functions, we analyzed wheth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dundancy of grammar items and each teaching textbooks is how muc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knowledge and standardization curriculum of grammar item is put in Korean education.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분석 교재 선정

3. 중급 교재 분석

4. 문법 교수요목 구성에 대한 제언

Abstract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