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결혼이민자 한국어 교육 효율성 향상을 위한 연구

A Study for Improve efficiency at Marriage Immigrants in Korean Language

  • 1,170
121847.jpg

한국 사회는 '다문화 사회'이다. 다문화사회를 이루는 중요요소는 '결혼이민'이다. 그래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교육의 한 방안으로 '협동학습'을 제안한다. 협동학습은 학습자간 유대관계와 한국문화 적응에 효과적이라 생각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협동학습'은 언어교육 보다 문화적응과 생활적응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협동학습에서 언어교육은 다양하게 시도했다. 이 연구에서는 "ㄹ" 발음에 한해서 다 국가 결혼이민자와 비교했다. 대상자들은 필리핀, 베트남, 네팔, 캄보디아 출신 여성이었다. 그리고 예외로 유학생은 중국인 학습자를 포함하여 'ㄹ' 발음에 대해서 비교했다. "ㄹ" 발음 비교에서 네팔과 캄보디아 결혼이민자들이 쉽게 발음했다. 그리고 베트남, 필리핀, 중국의 순이었다. 각국 학습자가 언어 습득에서 차이를 보이는 요인으로 "모어간섭현상"이라 파악했다. 중국과 필리핀은 권설음으로 정확한 "ㄹ" 발음이 되지 않은 것으로 살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을 매우 강조한다. 그 이유는 교사의 언어 교수 능력과 함께 교사가 학습자인 결혼이민자의 생활과 정서적인 부분까지 돌보고 지도해야 하는 특별한 신뢰관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한국어 교사의 역할은 "친정엄마"로 제안한다. 엄마처럼 제2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돌봄 속에서 한국어를 교육하는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Korea is a multi-cultural society. But it become slower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Then it steady progress marriage immigrants. It has gotten to the point that many immigrants of marriage have reached important positions in Korean society. It is necessary to educate a marriage immigrants in Korean language. An unified community must be achieve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is study is a suggestion, for a marriage immigrants. Here Propose a cooperative learning, because it is a worthy of education. A cooperative learning is a language education more then a culture and life of adaption in Korea. But this study try language education, and had been many cases. This study report "ㄹ" pronunciation with multi country. They are Philippi, Vietnam, Nepal, Cambodia, China. Then China is not immigrants but for students. A comparison of pronunciation "ㄹ" get to divide each country. This study a report, " ㄹ" pronunciation the best active Nepal and Cambodia, second Vietnam, third China and Phlippi. Because it is the mother language interference, which is the most interference retroflex in China and English pronunciation [r] in Philippi. And this study emphasis to role a teacher for Korean language. Because a teacher work not only for Korean language, but care and guide at all life for her. The conclusion, a role of the teacher of Korean language get as mommy for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배경

3.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4. 결론 및 제언

Abstract

참고 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