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신종플루 담론의 형성 구조

A Study on the Discourse Formation Structure Represented in Korean Newspaper Editorials Dealing with the Influenza A (H1N1) Virus: Focusing on Editorials in <The Chosun Ilbo> and <The Hankyoreh>

  • 198
121863.jpg

2009년 멕시코에서 발생한 신종플루의 피해와 관련된 보도는 필요한 정보의 적시 전달 실패와 과장, 갈등 보도 등으로 비판받았다. 특히 언론은 신종플루에 대해 충분한 의학 지식의 제공이 부족했고, 피해와 갈등 중심으로 보도하면서 불안감과 혼란감을 증폭시켰고, 정부와 의료인, 시민의 적절한 대응을 지원하는데 미흡했다. 이 글은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신종플루 관련 사설을 중심으로 담론 형성의 특징과 구조를 분석했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별 분석에서 신종플루 신문 사설의 게재 시기상 공통점은 관심 단계에서 일부 나타나고, 경계 단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논의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문사설의 주제별 분류 결과 조선일보의 경우 백신접종과 예방 유형이 3건으로 가장 많고, 대체적으로 분산된 구조를 보였지만 한겨레신문의 경우 정부의 정책과 대응이 8건으로 집중된 것은 신종플루와 관련한 정부 입장에 대해 두 신문이 상반되었음을 시사한다. 셋째, 신종플루와 관련한 대응 주체로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모두 정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의료계와 교육계 등의 순이었고, 시민의 경우는 매우 적었다. 넷째, 신문 사설 담론 구성의 특징과 관련해 사건은 매우 중요한 근거이자 계기에 해당하고, 실증성은 사설 담론이 현실적 구체성을 포함할 경우 수용되지만, 오히려 부작용이 클 경우 유보된다. 실증성은 사설 담론 내용의 구체성과 현실적 가능성에 의해 좌우되는데, 푸코는 실증성을 개인의 실천으로 본다. 요컨대 신종플루 신문 사설 담론 구조는 사건-담론-실증성(구체화 또는 유보) 등의 연결 고리 형태임 보여주는 가운데 헬스커뮤니케이션의 특성상 정부와 의료계의 역할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상황이 심각해지기 직전인 경계 단계에서 가장 활발히 등장했다.

This thesis explores the characteristic and structure of the discourse formation, focusing on editorials in <The Hankyoreh> and <The Chosun Ilbo> dealing with the influenza A (H1N1) virus, called swine flu(new flu).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periodic analysis, first, the period when the newspaper editorials dealing with the new flu were reported was in common, and both of them discussed the infectious disease partly in the concern stage and actively in the watch stage. Second, the thematic classification showed that the focus of the editorials was contrary to each other by a position the both newspapers took for the government's steps concerning the new flu. Third, the analysis on the main bodies coping with the new flu displayed that the government and the medical profession played a central role in a social issue such as the new flu, which means they are the main bodies of the discourse formation. Finally, the characteristic of the newspaper editorials' discourse construction showed the events always existed as a basis and momentum of the discourse saying the logic, the assertion, and its influence conveyed in the editorials.

요약

1. 문제의 제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6. 결론과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