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신문광고의 건강 정보콘텐츠에 관한 주관성 연구

Subjectivity Study on Health-information Contents of Newspaper-advertising

  • 71
121864.jpg

본 논문에서는 신문광고의 건강 정보콘텐츠에 관한 대학생들의 주관성을 진단하고, 기능적인 측면에서 세부적인 유형적 효과요인들을 짚어봄으로써 향후 신문광고의 건강 정보콘텐츠의 방향성을 가늠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제기된 사항들의 해답을 얻기 위하여 주관성연구 분석방법을 활용하며,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째, 신문광고의 건강 정보콘텐츠에 관한 수용인식 유형은 어떠한가? 둘째, 이들 각 유형들 간의 동질적인 특성과 그 함의는 무엇인가? 등이다. 이 논문에서는 신문광고의 건강 정보콘텐츠에 관하여 대학생들의 주관적 성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최종 분석결과, 총 3가지의 유형, 즉, 제 1유형[(N=8) : 긍정적 추구형(Positive Pursuit Type)], 제 2유형[(N=6) : 가치 추구형(Value Pursuit Type)], 제 3유형[(N=3) : 이성적 추구형(Rational Pursuit Type)] 등으로 유형화되었다. 앞으로 양적 실증조사와 함께 관련 전문가 집단 인터뷰(FGI)의 연구작업이 동반된다면, 신문광고의 건강 정보콘텐츠에 관한 다양하고 심층적인 연구결과가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러한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는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researched by practical method in a subjectivity study accessible in-depth, in sloughing off old habit of functional quantity analysis about reception type on health-information contents of newspaper-advertising. The perception pattern come out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in Q-methodology. The result is as follows ; it is that divided '1 type[(N=8) : Positive Pursuit Type], 2 type[(N=6) : Value Pursuit Type], 3 type[(N=3) : Rational Pursuit Type]'. Like this, it found that is very different type all over. Hereafter, this study is to ascertain acceptance behavior about Reception Type on health-information contents of newspaper-advertising ; to offer a developmental suggestion about it.

요약

1. 문제의 제기 및 연구목적

2. 이론적 논의

3. 연구설계 및 방법

4. 연구결과 및 논의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