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담배 광고․판매촉진․후원활동에 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f Tobacco Advertising, Sales Promotion, and Sponsorship

  • 532
121871.jpg

본 연구에서는 담배업계가 대중을 유인하기 위하여 행하는 마케팅 전략은 무엇이며, 국내 담배 회사의 담배광고․판촉․후원활동 현황은 어떠한지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담배업계는 담배 제품 개발에서부터 가격, 유통, 프로모션에 이르기까지 마케팅의 모든 요소들을 전략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접 근하는 전략을 시행해 왔으며, 연령 및 성별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흡연을 조장하고 새로운 흡연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개발해왔다. 이러한 전략 하에서 국내 담배업계는 담배 소매점 내 담배 진열과 광고, 담뱃갑 포장과 디자인, 후원활동, 인터넷을 통한 광고와 판촉활동 등 다양한 차원에서 담배광고․판촉․후원활동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특히 이를 통해 청소년과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함으로써 담배에의 접근을 유인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담배광고․판촉․후원활동의 영향으로 부터 사회 구성원들을 보호하기 위해 첫째, 담배 광고․판촉․후원활동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담배산업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을 강화시킴으로써 담배규제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우호적 사회분위기를 형성해야 하며, 셋째, 관계 부처 간 협력과 국제적 협력을 통해 효과적인 규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obacco industry's marketing strategies and domestic tobacco advertising, sales promotion and sponsorship to induce non-smokers to access to tobacco and suggested the alternatives for solving the issues of the tobacco advertising, sales promotion and sponsorship. Tobacco industry has developed marketing strategies to access diverse groups of people by managing product, price, placement, and promotion and by targeting special groups such as females and young adults. Under the strategies, domestic tobacco industry has induced non-smokers to access to tobacco through tobacco advertising, sales promotion, and sponsorship. To protect the community memb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egulation of domestic tobacco advertising, sales promotion, and sponsorship, to consolidate critical thinking of tobacco industry and its unethical and sly practices, and to make governmental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s for the effective regulation.

1. 연구배경 및 목적

2. 담배업계의 마케팅 전략

3. 국내 담배 광고․판매촉진․후원활동 현황 및 문제점

4. 담배 광고․판매촉진․후원활동에 대한 대응 방안

5. 요약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