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학교폭력 가해피해 중복경험 중학생의 특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Violence Middle-School Students with Victims and Offenders Experience and the Effect Variables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School Violence Students' Types

  • 371
122001.jpg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피해 중복경험의 학생집단을 중심으로, 가해, 피해, 비경험 집단과 비교하여 학교생활적응 양상을 파악하고,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여 중복경험 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그들의 학교생활적응과 학교폭력 개입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를 통해 수집된 중학교 1학년 2,091명이었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중복집단, 가해집단, 피해집단, 비경험집단 간의 학교생활적응 및 관련 변인들의 차이가 있는지 다변량분산분석을 수행하였고,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복경험 학생들은 학교생활적응 및 하위요인에서 교사관계를 제외한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에서 다른 집단들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학교생활적응에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 가족요인, 친구요인들에서 학교폭력 경험 유형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중복경험 학생들은 다른 집단 학생들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가족요인에서 학대를 더 많이 받고, 긍정적 양육을 접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친구요인에서도 애착관계가 낮게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학교폭력 경험 집단 유형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들이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는데, 중복경험 집단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자아탄력성이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학교폭력 중복경험 학생들의 학교적응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violent students with victims and offenders experience by comparing with offender group, victim group, and non violent group and the effect variables on school life adjustment. The data was from 2,091 middle school junior students who was surveyed in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MANOVA and Munti-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o test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violent students with victims and offenders experience were lower than in the other group. Also, their life satisfaction and evaluation of healthy were lower than in the other group. In the family variables, they experienced more mistreatment and less positive parenting than the other group. Also their friendship score was lower than non violent and offender group. From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 between effect variables on school life adjustment in groups. Ego-resilience was effective variable on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violent students with victims and offenders. In the end, the implications for the intervention of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were discussed.

요약

서론

방법

결과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