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여가활동으로서의 문학치료에 대한 탐색적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the Literatheraphy as Leisure Activities: The Depressive Disorder

  • 96
122131.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본 연구는 신경숙의 작품인 외딴방을 통해서 여가활동으로서의 문학치료의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신경숙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처럼 소외감과 무기력을 경험한다. 특히, 본 연구는 우울장애를 극복하기 위해 여가활동으로서 문학치료를 활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소설 작품의 읽기와 글쓰기 방식의 활용과 함께 치료 상담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우울장애의 문제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문학치료는 우울증 환자들이 자존감을 재발견하고 자신들의 우울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우울장애를 극복하는 과정을 서술하였다. 첫 번째 자아 정체성 단계, 두 번째는 카타르시스 경험 단계, 세번째는 자기 정체성 발견 단계, 네 번째는 자기분석단계이다. 결론적으로, 이와 같은 치료자와 환자 사이의 상호작용은 우울증 환자들이 소외, 우울증 그리고 불안을 최소화하고 긍정적 자기 인식에 도달할 수 있는 치료과정 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literatherapy through Shin, Kyung-suk's An Isolated Rooms. People with mental illness always realize the feelings of isolation and powerlessness like all characters in it. She showed her own efforts to overcome the issues of alienation in her work. The paper used the literatherapy as a concept of leisure. Also, it focused on the problem of depressive disorder through the approach of reading and writing of novel, and counselling therapy. Literatherapy was used as a way to provide an opportunity of turning point where depressed patients rediscover self-esteem and overcome their depressive dis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paper applied the process of overcoming isolation as following: First, self-identification, second, catharsis, third, the discover of self-identity, and fourth, self-examination. In conclusion, this interaction between curer and patient is expected to enhance positive self-awareness of depressed patients to reduce alienation, depression, and anxiety.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작품선정 및 연구방법

Ⅳ. 문학치료의 과정: 외딴방을 중심으로

Ⅴ. 요약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