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포은선생 배향서원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How to Make Use of the Seowons of Worshiping Poeun(圃隱先生 配享書院) as Cultural Contents

  • 338
122177.jpg

본고는 문화재로서 포은선생을 배향하는 서원 중 임고서원(臨皐書院)과 충렬서원(忠烈書院), 그리고 옥산서원(玉山書院)의 보존과 관리, 그리고 활용방안에 대해서 살펴보려는 연구이다. 연구 대상을 포은선생과 관련된 서원으로 삼은 것은 그가 우리나라 성리학의 창시자로 평가받고 있지만, 그와 관련된 서원문화재는 그 활용도 면에서 다른 서원과 비교할 때 활용도가 낮기 때문이었다. 본고는 서원문화재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임고서원과 충렬서원, 그리고 옥산서원의 보존·관리·활용의 현황, 입지와 공간구성의 특징에 따른 개선방안, 그리고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를 통해서 포은선생과 관련된 유적의 활용은 물론 포은 사상의 현대적 재조명도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서원은 조선시대의 교육 공간, 의례 공간이면서, 성리학적 가치관과 세계관, 그리고 자연관을 함께 읽어내는 조형물이었다. 따라서 서원의 성역화사업과 복원사업은 서원의 입지와 공간구성의 특징을 잘 복원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서원문화재는 문화브랜드, 지성사의 거점, 제향의례, 지역 정체성의 확립, 전통교육문화의 체험 등의 문화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다. 본고는 이에 따라서 포은선생 배향서원의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을 1)제향의례의 현대적계승·발전 방안 2)전통교육문화콘텐츠의 현대적 교육프로그램으로의 활용 방안 3)지역문화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상기시킬 수 있는 문화콘텐츠로의 활용 방안으로 제언하였다.

This paper suggests how to keep, care, and make use of, Seowons that worshiping Poeun as cultural treasures, such as Imgo Seowon(臨皐書院), Chungnyeol Seowon(忠烈書院), and Oksan Seowon(玉山書院). The Seowons of worshiping Poeun have been chosen for this study because they have been utilized much less than other Seowons even though he has been recognized as the founder of Sung confucianism(性理學).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studies on Seowon cultural treasures, this paper examines the present condition of keeping, caring, and utilizing Imgo Seowon, Chungnyeol Seowon, and Oksan Seowon, how to improve them with regard to loc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how to make use of them as cultural contents. This will enable us not only to utilize the historic sites of Poeun, but also to shed some contemporary lights on his thoughts. Seowons have been houses for education and courtesy in the Joseon Dynasty while being constructions that show the value system, the worldview, and a view of nature of Sung confucianism. Thus, to make Seowons sacred precincts and to restore them need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ir loc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Seowon cultural treasures can be utilized as cultural contents for cultural brand, a hub for intellectual history, courtesies, icon of local identity, experience of traditional education and culture. This paper suggests how to make use of the Seowons of worshiping Poeun as cultural contents as follows: 1) how to succeed and develop courtesies for contemporary use, 2) how to utilize traditional education and culture as contemporary education program, and 3) how to use them as cultural contents for encouraging the identity and pride of local culture.

1. 머리말

2. 포은선생 배향서원의 보존·관리·활용의 현황

3. 포은선생 배향서원의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4. 맺음말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