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어머니의 학력 변인과 유아 동화책 선정 요인과의 관계 분석

Analysis on Correlation between Mother’s Academic Career and Selection of a Children’s Book

  • 150
122191.jpg

본 연구는 유아기 어머니를 대상으로 동화책 선정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어머니의 학력 변인과 선정요인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동화책의 내용 선정 요인은 언어·문학적 요인 및 인지적 요인을 고려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사회·정서적 요인과 예술성 요인은 상대적으로 고려 정도가 낮았다. 구체적인 동화책 선정 요인을 살펴보면 흥미성과 창의성에 대한 고려 정도가 가장 높았고 반면에 표지의 예술성은 고려 정도가 제일 낮게 나타났다. 또한 공감성, 그림 및 삽화의 예술성, 도덕성, 논리성, 표지의 예술성은 중간 점수 이하의 고려 정도를 보였고 반면에 이를 제외한 나머지 동화책 선정 요인은 모두 중간 이상의 고려 정도를 보였다. 둘째, 동화책 선정 요인과 어머니의 학력 변인간의 차이 검증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화책 선정 요인 중 언어 및 문학성 발달에 대한 고려는 대학교 졸업 학력의 어머니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회․정서발달의 경우에는 어머니 학력이 낮을수록 고려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발달의 경우에는 고등학교 졸업 또는 대학교 졸업이 고려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예술성 발달의 경우에는 전문대 졸업 및 대학 중퇴 학력의 어머니의 고려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동화책 선정 요인과 어머니의 학력 변인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lection of a picture book with mothers havi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considered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 of mother’s academic career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selection. The results gained from this research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regar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mother’s selection of contents of a picture book, they consider linguistic ․ cultural factors and cognitive factors significantly but regard social ․emotional factors and aesthetic factors to be relatively less important. About the detailed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selection of a children’s book, they consider excitement and creativity the most but put the least emphasis on artistic value of the cover. And empathy, artistic value of the pictures and illustrations, morality, logicality, and artistic value of the cover received medium or lower points in terms of consideration; however, the rest factors to choose a picture book except for those all gained medium or higher points. Second, the study verified difference regarding the factors to choose a children’s book and the variable of mother’s academic career and then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among the factors to choose a children’s book, linguistic and literary development was considered the most by mothers with the academic career of university graduation, and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was considered more by mothers with less academic career. Also, cognitive development was considered to be important by those with the academic career of high school graduation or university graduation while artistic development was considered more by mothers with the academic career of junior college graduation or university dropout.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factors to select a children’s book and the variable of mother’s academic career.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