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적으로 가까운 한국과 중국은 지식과 문화를 상호 교류하여 왔다. 한국과 중국은 출판을 통해서 교류하며 한국이 받아들인 중국의 선진 문화와 지식은 한국 문화의 토양이 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한국은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었다. 출판학의 교류가 일어나게 되는 것은 출판학술회의를 통해서이다. 거기에서 상호 이해를 도모하게 된다. 국가 사이에도 학술회의를 통하여 각국의 출판 발전과 변화를 한자리에 모여서 서로 점검하고 이에 대한 방안을 모색한다. 1984년부터 시작된 국제출 판학술회의(International Forum on Publishing Science)의 창설을 통해 출판학 교류가 시작되고, 이는 양국 사이 출판학 교류로 발전하여 한국출판학회와 중국출판과학연구소가 주최하는 한중출판학술회의가 연례적으로 1995년부터 열렸으며, 논문집도 2013년까지 15회에 걸쳐 발간되었다. 이제 한중출판학술회의가 창설된 지 20년이 되어간다. 지난 20년 간 15회에 걸쳐 한국과 중국이 상호 개최한 한중출판학술회의에 발표된 논문들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 한국과 중국의 출판학 교류를 상징하는 한중출판학술회의에 발표된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해야 한다. 이 논문은 계량적 분석을 통해서 한중출판학술회의에 제출된 논문의 성격과 연구자 성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한중출판학 술회의의 논문 주제가 대부분 출판 현실에 편중하여 연구자들이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고르게 논문을 발표하지 못하고 있고, 디지털화되는 출판 환경을 반영하듯 디지털 출판에 관련된 주제를 많이 선택하고 있는 등 다양한 특징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출판 실무를 논문으로 서 다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하여 출판 실무자와 공동연구를 하거나, 실무자가 직접 논문을 제출할 수 있도록 장려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Korea and China, which are geographically close to each other, have engaged in the exchange of knowledge and culture. Particularly, the advanced culture and knowledge that Korea has adopted in the course of the exchange through publication have helped laid foundation for Korean culture on which basis Korea could develop its unique culture. The exchange in the field of publishing science has been made through the publishing science symposium instrumental in promoting mutual interest. The international symposiums that bring the countries under one roof have provided a platform for reviewing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publications in respective countries and exploring the measures for development. The exchange in publishing science dates back to 1984 when the International Forum on Publishing Science was launched. This exchange has developed into the exchange in publishing science, ultimately leading to the launch of annual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co-organized by the Korean Publishing Science Society and Chinese Institute of Publishing Science in 1995, an academic event which has been held to date. In addition, the article collections have been published 15 times until 2013. This year marks the 20th anniversary of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Now, it is time to analyze the articles presented in the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which has been held 15 times over the last 2 decades, co-organized by Korea and China, and to identify and resolve problems. Moreover, it is deemed necessary to systematically analyze and sort out the articles that have been presented in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which symbolizes Sino-Korean exchange in publishing science. This study is intend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articles submitted to the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and examine the tendency or inclination of researchers through econometric analysis. As most themes of articles presented in Sino-Korean Publication Symposium tend to place disproportionate emphasis on the publishing reality, researches have been unable to present articles of various themes in a balanced manner. Various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could be identified, such as the selection of many themes associated with digital publication, amid the transition to digitalized publishing environment. Efforts need to be redoubled, such as the joint research with the working-level personnel in charge of publication and encouragement for the working-level personnel to submit the articles directly, considering the reality in which most researchers of Korea are unable to handle the publication works through articles.
1. 서론
2. 한국과 중국 출판학 연구 특성
3. 논문 분석
4. 요약 및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