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미디어 환경이 크게 변화했다. 출판생태계도 같은 변화를 겪고 있다. 소셜출판, 1인출판, 블룩출판, 트윗출판 등의 등장이 그 예이다. 그러나 독서를 통한 지식과 지적능력 향상은 여전히 중요하다. 따라서 다양하고 활발한 독서운동이 요구된다. 독서를 통한 국민 지력향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지적능력과 지식의 개념 변화, 그리고 독서의 효능과 독서 생태 변화에 대해서 고찰하였고, 우리나라 국민의 독서량과 독서운동의 실태를 외국의 사례와 견주어 살펴보았다. 국민의 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독서 운동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첫째, 좀 더 다양하고 실천적이어야 한다. 둘째, 각 연령층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한다. 셋째, 지자체 간에 긴밀한 교류와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 넷째, 미디어 교육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 다섯째, 전시성을 탈피해야 한다. 여섯째,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Media environment has changed with the development of 21st Centur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re is a similar change in the publishing ecosystem. These are examples of this change. Social Publishing, Personal Publishing, Blook Publishing, and Tweet Publishing. However, It is still important to Improve knowledge and intellectual skills through reading.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ading Exercise, various and active. To improve intellectual power of the people through Reading, we looked at a Change in the media environment, Changes in intellectual abilities and knowledge, Effect of Reading and Change in the reading ecosystem. and we looked at a amount of reading of people and status of reading excercise by comparing with examples of foreign countries. The Reading Exercise for people's intellectual skills, it is must be as follows. First, it must have various way and must have a practical plan. Second, we need various kind programs for each groups. Third, it needs mutual exchange of opinions and close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Fourth, Media Education is required. Fifth, must broke the Sense of Exhibition. Sixth, the professional manpower, it should be nurtured.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국민 독서 실태와 독서 운동
4. 외국의 독서 운동과 특성
5.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