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패러다임 시프트와 디지털 기기의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종이책과 전자책(e-book)을 함께 읽는 ‘하이브리드(hybrid) 독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는 4가지 독자 유형(종이책 독자, 종이책+전자책 독자, 전자책 독자, 비독서자) 가운데 ‘전자책 독자’ 비율의 지속적 성장에 기인하며, 종이책의 영향력이 여전한 가운데 독서 선호도가 높은 종이책 독자가 전자책도 읽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이브리드 독자는 다른 유형의 독자층에 비해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독서행동을 보인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또한 전자책에서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장르문학 등 가벼운 오락 콘텐츠 의 인기는 종이책에서 공급이 부족한 콘텐츠 보완 기능이 강해, 전자책 이용률의 지속적 증가가 곧바로 ‘종이책의 쇠퇴와 전자책의 독주’를 의미하는 것으로는 보기 어렵다. 다만, 디지털 다매체 환경이 진화 할수록 독서 매체보다는 다른 오락․정보 매체에 보다 쉽게 노출될 수 있고, 매체 이용 시간과 비용이 비독서 매체로 이동함으로써 독서문화의 지속적인 위축이 우려된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독서환경에 걸맞은 출판산업, 독서진흥정책, 연구 활성화를 통해 ‘하이브리드 독서문화 지형’을 보다 강화함으로써, 매체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독서인구 확대의 핵심인 개인의 독서습관 및 사회적 독서문화 형성을 위해 힘써야 할 것이다.
Digital paradigm shift and Using Digital devices are becoming more common, so the Hybrid reading(-both Paper-book reading and E-book reading) is spreading across the world. It shows that 4 types of reader(paper-book reader, paper book + e-book reader, e-book reader, Non-reader), percentage of the e-book reader is increasing, and the influence of Paper-book-reader is still great, also shows the Paper-book-reader(-High reading preferences) read the digital book. Hybrid readers are more active in reading more than other readers. that is the point. And the recreational popularity of genre literature is the large part of the e-book, that is the Content supplementation function compared to the paper-book. so the increase in e-book usage, it does not mean 'decline of paper book and exclusive of e-book'. However, as the digital media environment evolves, it is easily exposed to other entertainment media rather than Reading. And while Media usage time and cost is moving to non reader media, it is concerned about atrophy of reading culture. Therefore, for the hybrid reading environment, we need to strengthen the hybrid reading culture form through the Publishing industry, Reading Promotion Policy and Reading Research. And even the change in the media environment, we have to make a greater effort for Personal reading habits and Social culture of reading, it has a great influence to Expansion of the reading population.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문제
3. 하이브리드 독서의 확산
4. 출판시장의 하이브리드화 경향과 전자책 시장의 특성
5. 하이브리드 독서 생태계의 특징과 독서문화의 발전 과제
6.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