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도래에 따른 인쇄매체 침체라는 위기 상황 속에서 한국 잡지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 대상의 실증조사를 통해 우리 잡지 콘텐츠의 경쟁력 강화 및 잡지산업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과 방안을 도출하였다. 한국 잡지산업의 실태와 문제점으로는 잡지사 규모의 영세성, 취약한 자본경쟁력, 잡지 전문인력 양성기관의 부족, 잡지 유통의 난맥상, 잡지이용률 하락 등이 꼽힌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잡지의 경쟁력 향상 방안 및 잡지산업 발전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가장 중요한 것은 양질의 잡지 콘텐츠 생산이다. 둘째, 미래형 잡지형태를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다양한 콘텐츠 판매 채널을 확보해야 한다. 넷째, 잡지 콘텐츠의 디지털화, 자료 색인화, 공동 저작권 플랫폼이 필요하다. 다섯째, 잡지 콘텐츠의 원소스멀티유즈(OSMU)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여섯째, 우수한 인재를 확보하고 육성해야 한다. 일곱째, 정부가 잡지산업을 정책적으로 육성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잡지인의 자구노력과 분발이 요청된다. 정부는 위에서 언급한 과제와 제언들을 우선적으로 정책에 반영하고, 잡지계 역시 능동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자세로써 함께 나서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bout exploring the recent situation and problem about industry of korean magazine in the crisis of diminishing printing media cause of upcoming of digital media era. Based on this, we could enhance our magazine's competitiveness and deduct implication and method of development of magazine industry. The problems and current situation of magazine indutry are magazine company's small scale, vulnerable competitiveness for capital, lack of magazine expert training institution, the disorder of magazine distribution, and decrease of magazine utilization. Based on this study result, we suggest the method of development of magazine's competitiveness and future direction of magazine industry as belows. First of al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magazine content. Second, we have to express the shape of future magazine. Third, we have to secure variety content sale channel. Fourth, we need digitalization of magazine content, data indexing, and flatform of co-copyright. Fifth, we have to seek for OMSU method of magazine content. Sixth, we have to secure outstanding individual and promote them. Seventh, the government have to promote magazine industry politically. Finally, we need above all magazine people's own effort and exertion . The government preferentially have to reflect all those mentioned assignment and suggestion to policy, and as well as magazine field have to set out with active and future-oriented attitude.
Ⅰ. 서론
Ⅱ. 잡지산업의 환경 및 동향
Ⅲ. 한국 잡지산업의 현황과 실태
Ⅳ. 한국 잡지산업 발전을 위한 실증조사
Ⅴ. 연구 결과의 주요 내용
Ⅵ. 결론 및 제언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