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출판의 국제화를 배경으로 한 산업육성책의 상황과 검토

South Korean Local Publishing Industry : Focused on the Point of View of the Producers

  • 114
122193.jpg

출판 산업은 국력의 기반이 되는 지식·교육, 정보의 생산·유통, 언론의 자유를 뒷받침하는 미디어이며, 산업규모를 능가하는 지극히 중요한 존재이다. 그런 만큼 전자서적의 발전은 지식· 정보유통에 큰 변혁을 가져오고 사회와 문화, 국가의 바람직한 모습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한편 미국 거대IT기업에 의한 플랫폼이 정보유통 기반을 과점 하고 있는 것은, 언론표현의 관점에서도 간과할 수 없다. 세계의 주요국이 전자서적이나 도서의 내셔널 아카이브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문화정책·산업보호정책의 관점에서 저작권법 개정 등과 같은 제도정비나 보조금 사업 등에 전념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이러한 상황을 배경으로 국가와 출판계의 관계에 주의하 면서 출판 산업 육성책의 구축이 급선무로 평가되고 있다. 일본의 출판 산업의 발전과 국가의 역할에 관해 검토한다.

Publishing industry is media to support Knowledge and education based on national powe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information and Freedom of the press, and it is an important presence surpassing industrial scale. So the development of e-book is caused big change to the knowledge·information distribution, and it has a big influence to the preferred look of Society and culture, a country. On the other hand, the platform of giant IT company in USA is oligopoly the base of information distribution, this can not be overlooked in terms of media representation. World main country has great concern for E-book and book of the National Archives and they concentrate on System maintenance and subsidy business such as copyright law revision in terms of Cultural policy · Industrial protection policy. In japan this situation as a background it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publishing world and Publishing Industry Development Policy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Review about the publishing industry development and role of national in Japan.

1. 들어가며 : 일본의 출판 국제화 원년과 변화의 시작

2. 일본의 출판 시장 개황

3. 출판산업기반의 국제화와 해외기업의 진출

4. 출판산업육성책의 변천

5. 출판디지털구조의 설립

6. 전자서적을 둘러싼 저작권 문제

7.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