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淸代毛評《三國演義》 廣百宋齋本圖贊硏究

Study on the Illustration Eulogies of Gangbaisongzhai Edition of Mao’s Appraisal Edition of Romance of the Threekingdoms in the Qing Dynasty

  • 28
122477.jpg

정나라 모종강(毛宗岗) 논평의 삼국연의(三國演義) 판본은 많고, 이 판본들 중 도찬(圖贊)이 있는 판본 또한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대부분의 수상(繡像), 도찬(圖贊) 판본은 반각 판본이다. 그 중 광백송재본(廣百宋齋本) 수상(繡像), 도찬(圖贊) 반각 판본이 많다. 이러한 현상은 광백송재본(廣百宋齋本) 수상(繡像), 도찬(圖贊)이 후대에서 인정을 받고 인기도 많았음을 의미한다. 광백송재본(廣百宋齋本) 도찬(圖贊)에 대한 연구는 그 도찬(圖贊)의 원류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취경당본(醉耕堂本)의 수상(繡像), 도찬(圖贊)과 다른 시기에 나온 작품들과의 비교를 통해 당시 독자층의 취향과 심미적 가치 추구 양상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There are many editions of Mao’s appraisal edition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in the Qing dynasty, so well as editions with illustration eulogies, in whose tapestry portraits and illustration eulogies we can find some rules. Most of these tapestry portraits and illustration eulogies are copies, and it shows that many copies are based on those of Gangbaisongzhai edition by classifying these illustration eulogies, so it approves that the illustration eulogies of Gangbaisongzhai edition are widely accepted by the later generations. Studying on the illustration eulogies of Gangbaisongzhai edition makes it possible to ascend the origin of these illustration eulogies. Moreover, we can find the difference of the aesthetics ability and aesthetic acceptance between readers of different ages by comparing the illustration eulogies of Gangbaisongzhai edition with those in the Zuigengtang tapestry portraits and illustration eulogies system.

국문제요

導言

一、廣百宋齋本版本情況

二、醉耕堂本繡像、圖贊系統與廣百宋齋本繡像、圖贊系統的異同

三、廣百宋齋本圖贊的源流

四、結語

〈參考文獻〉

〈Abstract〉

(0)

(0)

로딩중